이달 3~5개 부처 예정불구
보궐 선거 등 정치상황 변해
통일 교체·특임은 비워둘 듯
보궐 선거 등 정치상황 변해
통일 교체·특임은 비워둘 듯
이명박 대통령의 부분 개각이 주민투표 패배와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때문에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이 대통령은 애초 이달 말까지 3~5개 부처의 장관을 바꾸는 소폭 개각을 예정했으나, 정치적 상황 변화가 개각의 내용과 일정을 변화시킨 것 같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28일 “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 이전에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선과 검증이 거의 마무리된 상태였으나, 귀국(26일) 이후 상황이 바뀌었다”며 “일부 장관 자리는 새로 사람을 찾아야 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한 자리가 틀어지면 전체 인선안이 깨진다”며 “내일(29일)까지도 결정을 내리지 못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원래 이번 개각의 성격은 ‘정치인 출신 장관(문화, 복지, 특임 등)의 국회 복귀’였으나 자칫 잘못하면 서울시장 보궐선거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데 청와대의 고민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관료 출신 인물을 장관에 기용하는 게 편하긴 하지만 개각의 콘셉트를 생각하면 적절하지 않을 거 같다”며 “여러 콘셉트를 새로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안에선 참신한 인물을 내세워 정국을 돌파하자는 ‘적극적 개각론’과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벌어질 사고를 막아야 한다는 ‘방어적 개각론’이 엇갈리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과정에서 기존의 유력 후보자 가운데 일부는 탈락할 위기에 놓인 것으로 전해졌다. 문화부 장관 후보로 유력했던 연극인 송승환 피엠시(PMC)프로덕션 대표이사는 어려운 상황이고, 조윤선 한나라당 의원(비례대표)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복지부 장관 후보였던 임채민 국무총리실 실장도 가능성이 많이 줄어들었다. 교체가 확실시되는 이재오 특임장관 자리는 당분간 비워둘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개각엔 통일부 장관이 교체될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 검증에 참여한 청와대 관계자는 “장관이 바뀐다고 정부 기조가 바뀌는 건 아니다. 같은 국정기조도 누가 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면서 교체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통일부 장관엔 류우익 전 주중대사가 1순위지만, ‘회전문 인사’라는 점이 부담이다. 여성부 장관엔 김금래 한나라당 의원(비례·초선) 이 유력해 보인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