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103차 비상경제 대책회의를 주재하며 ‘전력수급 안정 및 범국민 에너지절약대책’ 등이 담긴 자료집을 들여다보고 있다. 청와대 제공
“소통 강화하겠다” 말 뿐
여 쇄신파 사과 요구에도
내곡동 사저 해명 여론에도
책임있는 답변 없이 함구
여당서도 “답답하다” 말해
여 쇄신파 사과 요구에도
내곡동 사저 해명 여론에도
책임있는 답변 없이 함구
여당서도 “답답하다” 말해
이명박 대통령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패배 뒤 곧바로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했지만, 소통과는 거리가 먼 행보를 이어간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당에서도 이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다.
대통령의 사과와 국정기조 전환 요구를 담은 한나라당 쇄신파 의원 25명의 서한에 대한 이 대통령의 반응은 “답변을 안 하는 것으로 답변을 보내고 있다”는 것이었다. 지난 9일 미국 공영 라디오 방송 <엔피아르>(NPR)와 한 인터뷰에서였다. 여당의 쇄신 요구에 대한 첫 공식 반응임에도 알듯 모를 듯 애매한 내용인 데다 외국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앞뒤 맥락 없이 튀어나온 말이라 혼란을 더했다.
이 대통령은 퇴임 뒤 구상도 최근 미국에서 발간된 영문 자서전을 통해 처음 밝혔다. 국내 언론보다 외국 언론과의 소통에 치중해온 그동안의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여당마저도 이 대통령의 이런 소통 방식에 답답함을 호소하고 나섰다. 유승민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1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언젠가는 대통령이 (의원들의) 요구에 대해 분명한 답변을 내놓으셔야 한다”고 말했다. 원희룡 최고위원도 “이 대통령의 침묵이 답변이라는 말씀에 대해 정말 걱정스럽다”며 “끓어오르는 민심에 대해 성의 있고 책임 있는 소통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나랏돈 사저’라는 비판을 받은 서울 서초구 내곡동 사저 문제에 대해서도 백지화 발표 이후엔 함구하고 있다. 청와대는 굳이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태도다. 김효재 정무수석은 지난 7일 국회 예결위에서 정태근 한나라당 의원이 내곡동 사저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자 “여론의 지적을 받은 다음 백지화했다. 그 문제를 사과와 연결하는 것은 글쎄…”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33)씨 명의의 사저 부지와 예산 42억8천만원이 투입된 경호시설 부지에 대한 처분 계획도 밝히지 않고 있다. 그러면서 서울 강남구 논현동 사저의 경호시설 건립이 급하다며 국회에 부지구입비 40억원 등 72억원을 신청해 67억6400만원을 배정받았다. 시형씨가 빌린 돈과 국가 예산을 뒤섞어 땅을 산 이유, 자금 배분 기준 등 여러 의혹은 전혀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이용섭 민주당 대변인은 10일 논평을 내어 “이 대통령이 사과는 고사하고 해명 한 마디 안 한마당에 사저 예산을 다시 편성하는 행정 낭비까지 발생했다”며 “이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내곡동 의혹에 대해 명명백백하게 밝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영포(영일·포항) 라인’의 핵심인 이강덕(49) 경기청장을 서울청장에 내정한 것도 이 대통령의 ‘불통 행보’ 사례로 지적된다.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고위정책회의에서 “시민과의 소통은 안중에도 없고 ‘명박산성’을 쌓겠다는 불통인사”라며 “10·26재보선 결과를 무겁게 받아들인다는 인사 방식이 바로 이것이냐”고 비판했다.
안창현 이지은 기자 blu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