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연평도는 김정일 위원장에 최종책임”
“북 내부서 뽑은 지도자”
김정은 대화상대 인정 뜻
MB “대북관계 유연하게”
“북 내부서 뽑은 지도자”
김정은 대화상대 인정 뜻
MB “대북관계 유연하게”
청와대가 22일 천안함·연평도 사태와 관련해 “최종적 책임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게 있다”고 말했다. 이는 남북관계 최대 걸림돌인 천안함·연평도 사태의 책임을 김정일 위원장에게 한정지음으로써 꽉 막힌 출구를 열어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김정일 위원장 사망과 관련한 배경 설명을 하는 자리에서 “누가 밑에서 얼마나 책임이 있는지 우리가 명확히 규명하지 못한 상황에서 최종적 책임은 김 위원장한테 있다”고 밝혔다.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의 책임 여부를 두고선 “아버지한테 보고도 않고 일을 저질렀는지, 어떤 의사결정 과정을 거쳤는지 확실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니 뭐라 말하는 건 시기상조”라고 유보적 태도를 보였다.
이 관계자는 김정은 부위원장 후계체제와 관련해 “북한이 내부의 지도자 선출 시스템으로 선택한 리더십”이라며 “우리가 누구 손자라서 상종을 안 하겠다는 입장을 정해놓고 할 건 아니다”라고 말해, 김정은 체제를 대화 상대로 인정할 뜻임을 내비쳤다. 그는 천안함·연평도에 대한 사과 없는 정치·군사 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미리 정책을 정해 놓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전향적 태도를 보였다.
이명박 대통령도 대북정책 기조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에서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 원혜영 민주통합당 공동대표 등과 만난 자리에서 “대북관계에 대해서는 얼마든지 유연하게 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취한 조처들은 기본적으로 북한을 적대시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북한에 보이려고 하는 것”이라며 “북한도 우리가 이 정도까지 하리라고는 아마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김정은 체제의 안착 문제를 놓고서도 “우리나라, 미국, 중국, 러시아 모두 북한이 빨리 안정되기를 바란다는 면에서 뜻을 같이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