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MBC)에 이어 <한국방송>(KBS)도 6일부터 파업을 벌이기로 하면서, 파업의 원인을 제공한 ‘당사자’로 지목되는 청와대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일단 청와대는 언론사 파업과 무관함을 강조하고 있다. 각 언론사에서 벌어지는 일로 청와대가 챙길 사안이 아니라는 것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5일 “청와대가 언급할 사안이 아니다”라면서 입을 닫았다. 다른 관계자도 “각 언론사에서 풀어야 할 일로, 청와대는 일체 관여하고 있지 않다”며 “우리는 그냥 이를 지켜볼 뿐”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 방송사들이 모두 ‘공정보도’를 문제삼으면서 현 정부가 ‘낙하산’으로 내려보낸 경영진에 맞서고 있다는 점에서 정치적 부담이 된다는 점을 부인하지 못했다. 이명박 정부는 2008년 촛불집회를 계기로 ‘방송사 장악’에 들어갔고, <와이티엔>(YTN) 기자 해직 사태 등이 이 과정에서 벌어졌다는 게 언론계의 시각이다. 청와대는 특히, 언론사 연쇄 파업이 대규모로 장기화하면 총선에도 악영향을 미칠까 우려하고 있다. 정부가 지분을 갖고 있는 언론사 중심으로 파업이 확산할 조짐을 보여 레임덕(임기 말 권력누수)을 가속화할지 모른다는 걱정도 있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전여옥, 신지호, 진수희 사실상 공천 탈락…친이계 반발 일듯
■ 새누리당 ‘쇄신’ 부족하지만, 민주당은 더 못해
■ 빅뱅 “난 살아 있다!”…대성 ‘날개’부르며 공중으로
■ “음식 안내온다 총 겨눌때 식은땀”
■ ‘한국 아이들 부러워할’ 호주의 선진교육 현장
■ 전여옥, 신지호, 진수희 사실상 공천 탈락…친이계 반발 일듯
■ 새누리당 ‘쇄신’ 부족하지만, 민주당은 더 못해
■ 빅뱅 “난 살아 있다!”…대성 ‘날개’부르며 공중으로
■ “음식 안내온다 총 겨눌때 식은땀”
■ ‘한국 아이들 부러워할’ 호주의 선진교육 현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