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2009년 5월 1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14차 라디오 연설을 녹음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19일 제86차 라디오 연설서 ‘핵안보정상회의’ 홍보 안간힘
북한 핵 문제와는 ‘억지’ 연결하면서 고리 원전 사고는 언급 안해
북한 핵 문제와는 ‘억지’ 연결하면서 고리 원전 사고는 언급 안해
이명박 대통령은 19일,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핵안보정상회의 홍보에 직접 나섰다. 하지만 원전 안전 등 당장의 국민적 관심사는 전혀 언급하지 않아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라디오 연설(제86차)에서 “오는 26일부터 이틀 동안 53개국 정상을 포함한 전 세계 지도자들이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서울에 모인다”면서 말문을 열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이번 행사에 큰 의미를 부였다. “70억 인류의 평화와 안전 문제를 다루는 세계 안보 최상위 회의”라고 했고, “단일 주제를 놓고 열리는 세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정상회의”라고 했다.
심지어 이번 라디오 연설에는 이례적으로 외교안보연구원 교수, 40대 직장인(“더 적극적으로 참여해야죠”), 대학생 자원봉사자(“핵 테러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되기 바랍니다”)의 육성까지 등장했다. 대통령 홀로 국민에게 메시지를 던지던 평소 라디오 연설과 형식이 크게 달랐다.
이 대통령이 이렇게 홍보에 힘을 기울이고 있지만,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왔다. 이번 회의는 국제적인 핵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당장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우리나라 고리 원전 사고 등 ‘핵안전’과는 거리가 먼 행사이기 때문이다.
이날 연설을 뜯어보면 이 대통령도 이런 사실을 부인하지 못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핵 안보의 중요성이 대두된 것은 지난 9·11 테러가 계기였다. 테러 가운데 가장 가공할 테러가 바로 핵무기를 사용한 핵 테러”라면서 ‘갑작스레’ 테러의 위험을 강조했다. 하지만, 지난달 후쿠시마 원전 사고 1주년에 이어 최근 고리 원전 사고로 국민적 관심도가 높아진 원전의 안전 문제에 대해선 단 한 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또 이 대통령은 이번 회의를 북한의 핵 문제와 연결하려 했지만, 매끄럽지 않았다는 평가다. 이 대통령은 “북한을 목전에 둔 우리도 핵 테러 위협 속에서 자유롭지 않다”며 “북한 비핵화에 대한 국제 사회의 지지기반을 넓히는 데도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봉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도 이날 연설 중간에 “북한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고 압박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의 설명과 달리, 이번 회의 주제는 미국의 가장 큰 관심사인 ‘핵 테러’이기 때문에 북핵 문제인 정식 의제에도 올라있지 않다. 북핵 문제는 6자회담이라는 국제적 논의 틀이 따로 있고, 북한 핵무기를 ‘핵 테러’ 문제로 규정하는 전문가는 거의 없는 게 사실이다. 청와대 관계자도 “이번 회의는 북핵 문제 해결에 ‘간접적인 효과’ 정도만 있을 것”이라고 인정하고 있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임태희, 사찰범들 입막음용으로 금일봉 건넸나
■ 정몽준, 박근혜에 ‘직격탄’
■ 큰누나 만난 이건희, 소송전 ‘대열 정비’
■ ‘영업이익의 140배’ 안랩 주가, 어떻게 봐야 하나
■ [고종석 칼럼] 박노자 생각
■ 임태희, 사찰범들 입막음용으로 금일봉 건넸나
■ 정몽준, 박근혜에 ‘직격탄’
■ 큰누나 만난 이건희, 소송전 ‘대열 정비’
■ ‘영업이익의 140배’ 안랩 주가, 어떻게 봐야 하나
■ [고종석 칼럼] 박노자 생각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