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사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탈세…병역특혜…전관예우 논란
청문보고서 채택 안된 점도 비슷
청문보고서 채택 안된 점도 비슷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줬다. 지명한 지 34일 만이다. 현 장관보다 나흘 먼저 지명된 김병관 국방부장관 후보자는 이날 사퇴했고, 박 대통령은 즉각 김 후보자의 후임으로 김관진 장관의 유임을 발표했다. 박 대통령이 “국정 운영의 중심축으로 삼겠다”던 ‘경제부흥’과 ‘국민의 안전’을 각각 책임지는 수장으로 지명됐던 이들의 운명은, 한달여 만에 정반대로 엇갈렸다.
김 후보자는 역대 청문회 사상 가장 많은 의혹이 제기된 ‘비리 백화점’으로 지목되며 국회에서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거부당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김 후보자를 ‘버리고’ 현 장관을 임명한 것이 ‘도덕성’ 때문은 아닌 것 같다. 현 장관 역시 김 후보자 못지 않게 탈세와 병역특혜 의혹, 전관예우 논란 등을 빚었고, 새누리당에서조차 부적절하다는 의견이 들끓었다. 국회에서 인사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것도 김 후보자와 같다.
그런데도 현 장관이 ‘살아남은’ 까닭은, 김 후보자 덕분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정부조직법 협상 막바지에 김 후보자가 케이엠디시(KMDC) 주식 보유 사실을 은폐했다는 의혹으로 결정타를 맞았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애초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면, 두 사람을 나란히 임명할 계획이었다. 그런데 갑자기 김 후보자의 거짓말 파문이 불거지면서, 자칫 그를 지키려다간 불똥이 다른 데로 튈지 모른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청와대는 20일께 김 후보자에게 ‘대통령에게 너무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알아서 거취를 정리해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 사령탑이 공석으로 남아 있는 상황도 박 대통령으로선 마뜩찮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4대 국정목표의 첫번 항목으로 ‘경제부흥’을 내건 마당에 장관을 임명하지 못해 물가관계부처회의 등 여러 회의들이 무산되고,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등 경제 활성화 대책 마련이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현 장관은 그동안 서울 예금보험공사 사무실에 출근해 현안 보고만 받았을 뿐, 국무회의나 장·차관 워크숍에도 참석하지 못했다. 조혜정 기자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수첩 인사’가 빚은 ‘데스노트 참사’
■ 영훈국제중 전 교장 “학부모 대부분 중증 질병 환자”
■ ‘성접대 의혹’ 윤씨 대가로 뭘 받았나?
■ “선생님 살고싶어요” 판자촌 소년 누가 죽였나
■ 아들이 맞았다, 성난 아빠가 학교로 돌진…그런데…
■ ‘박근혜 수첩 인사’가 빚은 ‘데스노트 참사’
■ 영훈국제중 전 교장 “학부모 대부분 중증 질병 환자”
■ ‘성접대 의혹’ 윤씨 대가로 뭘 받았나?
■ “선생님 살고싶어요” 판자촌 소년 누가 죽였나
■ 아들이 맞았다, 성난 아빠가 학교로 돌진…그런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