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관련 부처 사이의 ‘대북 메시지 혼선’이 국회에서 도마에 올랐다.
18일 국회 운영위원회에 출석한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4·11 대북 대화 제의에 대혼선이 왔다. 왜 그렇게 된 것이냐”(윤관석 민주통합당 의원)는 질문에 답하면서 “김행 대변인이 어디서 그런 말을 듣고 했는지는 저는 확실하지는(확실히 알지는) 못하지만 (국가)안보실에서 컨트롤받고 한 것은 아니다”며, 혼선의 원인을 김행 청와대 대변인에게 돌렸다. 지난 11일 류길재 통일부 장관의 대북 성명이 “대화 제의가 아니다”라고 설명한 김 대변인의 말은 자신과는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김 대변인은 북한의 미사일 실험 이후 안보 상황과 관련해 청와대 기자들에게 배경설명을 할 때마다 ‘원 보이스’를 강조하면서 “김장수 실장에게 직접 확인한 내용”이라고 말해왔다. 이 때문에 당시 김 대변인의 ‘부인’은 김 실장과 교감한 내용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청와대 고위 인사는 김 대변인의 설명이 있고 불과 몇 시간 뒤 “대화 제의가 맞다”고 말을 바꿨다.
김 대변인이 김 실장에게 대화제의가 맞는지 아닌지를 확인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안보 수장’인 김 실장이 김 대변인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듯한 발언을 한 것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구나 김 실장의 발언은 청와대의 소통 부재는 물론, 컨트롤타워 기능 부재까지 자인한 것이다. 윤 의원은 “국가안보실에서 컨트롤해야 한다”고 질책했다. 김 실장은 “문제점이 노정됐기 때문에 (국가)안보실과 외교안보수석실과 같이 시스템적으로 컨트롤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여당인 새누리당의 김도읍 의원은 김 대변인을 ‘혼선의 장본인’으로 지목했다. 김 의원은 “대북 메시지는 정제되고 조율되어야 한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추진안과 관련해서도 김행 대변인은 ‘박근혜 정부의 대북 기조는 선안보 후지원’이라는 식의 또 다른 혼선이 빚어질 만한 답변을 했다”고 말했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