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 “국회 파행, 개입여지 없어”
‘무대응’ 유지속 민생행보 전망
쟁점 정리뒤 여야대표 만날듯
‘무대응’ 유지속 민생행보 전망
쟁점 정리뒤 여야대표 만날듯
일주일의 휴가를 보내고 5일부터 업무에 복귀하는 박근혜 대통령이 하반기 국정을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제현안이나 남북관계와 인사 등 여러 현안이 쌓여있는데다, 당장 국가정보원 국정조사를 둘러싼 국회 파행에 박 대통령이 어떻게 대응할지도 주목된다.
박 대통령이 휴가를 보내는 동안 민주당은 여권이 국정원의 대선개입 진실 규명을 위한 국회 국정조사를 회피하고 있다며 장외투쟁을 시작했고,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박 대통령의 사과와 함께 단독회담을 통한 ‘담판’을 제의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국정조사를 둘러싼 여야의 공방 또는 협상에 대해 철저하게 ‘무대응’ 기조를 유지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한길 대표가 제의한 ‘담판’에 가부조차 말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여야가 알아서 할 일이지 청와대가 개입할 여지도 수단도 없다. 더구나 야당이 국회 안에서 해결을 못 하고 장외로 뛰쳐나간 상태에서는 더더욱 청와대가 끼어들 일이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의 이런 대응은 야당의 장외투쟁이나 시민단체 등의 ‘촛불 집회’가 민생 문제도 아닌데다, 장외투쟁 자체가 여론의 충분한 관심과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5일 업무에 복귀하는 박 대통령은 당분간 휴가 전 시작했던 지방 방문과 민생·경제살리기 행보를 이어가며 여의도 정치와 거리 두기를 계속할 예정이다.
다만 국회가 파행을 이어갈 경우 9월 정기국회 등에서 야당의 협조를 받기 어려운 만큼, 청와대 내부적으로는 새누리당 지도부가 야당이 국회로 복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명분은 만들어줄 필요가 있다고 보고 있다. 박 대통령이 여야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회담을 하더라도, 여야 협상을 통해 국정조사를 둘러싼 대립이 어느 정도 정리된 뒤에 가능하다는 기류다. 박 대통령은 조만간 청와대 정무수석을 임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회 파행이 계속되면 국회와 원활한 소통 업무를 담당하는 정무수석 자리를 2개월이 넘도록 비워둔 청와대도 책임론을 피해가기 어렵기 때문이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대통령이 직접 나서라” [한겨레포커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