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5자 회담 열자” 역제안
민주 “영수회담 선행돼야” 거부
민주 “영수회담 선행돼야” 거부
국회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는 6일 여야 간사간 협의를 통해 국정조사 기간을 애초 15일에서 23일까지 8일 더 연장하는 등 국정조사를 정상화하기로 합의했다. 여야는 이 합의안을 14일 열릴 예정인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하기로 했다.
또 애초 7~8일 이틀 동안 진행하기로 했다가 증인 채택 문제를 놓고 난항을 겪었던 청문회 일정도 하루를 늘려 14일과 19일, 21일 사흘에 나누어 진행한 뒤 23일 국정조사 결과보고서를 채택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다만, 여야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 등 민주당이 요구하고 있는 추가 증인에 대한 채택 여부와 참고인 채택 문제는 7일 오전까지 논의를 계속해 결론을 내기로 했다. 여야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증인 채택에 대해선 사실상 합의를 이룬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경색된 정국과 여러 현안, 여야 관계를 풀기 위해 여야 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참여하는 5자 회담을 열자고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을 통해 제안했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의 양자회담 제안과,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의 3자 회담 제안보다 참석 범위를 넓혀 5자 회담을 역제안한 것이다.
김기춘 신임 비서실장은 오후에 기자회견을 열어 “최근 여야 대표로부터 대통령과의 회담 제의가 있었고, 이번에 여야가 같이 국정 전반에 걸쳐 의견을 나누고자 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며 “각종 국정 현안이 원내에 많은 만큼 여야 원내대표를 포함한 5자 회담을 열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김 실장은 회견 뒤 곧바로 황우여, 김한길 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이런 내용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5자 회동 제안에 새누리당은 “여야 논쟁을 종식시킬 출발점”이라며 환영했지만, 민주당은 “일대일 영수회담이 선행돼야 한다”며 이를 사실상 거부했다.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는 “청와대가 현 정국의 심각성과 해결책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제1야당 대표가 당초 제안한 대로 일대일 영수회담에서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현 상황에 대한 서로간의 인식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해법을 논의하는 것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민주당 내부적으로는 완전한 다자회담의 성격을 갖는 5자 회담이 아닌 3자 회담은 받아들일 수도 있다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석진환 조혜정 기자 soulfat@hani.co.kr
[시사게이트#7-1] 막장에서 광장으로
<한겨레 인기기사>
■ 김기춘, ‘초원복집 사건’ 때 “지역감정 불러일으켜야 돼, 하하”
■ 전두환 쪽 “청와대 금고의 9억5천만원 전액 박 대통령에게 전달”
■ ‘무릎팍 도사’ 6년 7개월만에 폐지
■ [화보] “눈 앞이 안보여!” 기습 폭우에 놀란 시민들
■ [화보] 눈길을 잡아끄는 이 매력…이것이 한복이다

■ 김기춘, ‘초원복집 사건’ 때 “지역감정 불러일으켜야 돼, 하하”
■ 전두환 쪽 “청와대 금고의 9억5천만원 전액 박 대통령에게 전달”
■ ‘무릎팍 도사’ 6년 7개월만에 폐지
■ [화보] “눈 앞이 안보여!” 기습 폭우에 놀란 시민들
■ [화보] 눈길을 잡아끄는 이 매력…이것이 한복이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