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사 현안 등서 선조처 촉구
정상회담 선결조건 거듭 확인
헤이그서 한·미·일 정상회담 가능성
정상회담 선결조건 거듭 확인
헤이그서 한·미·일 정상회담 가능성
청와대가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위해서는 과거사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진정성 있는 조처가 선행돼야 한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지난 14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무라야마 담화’, ‘고노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뒤 한-일 관계 회복에 대한 전망이 나오는 시점에서, 청와대가 관계 개선을 위한 선결조건을 거듭 확인한 것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17일 오전 브리핑에서 “우리 정부는 대화를 위한 대화보다는 양국 정상 간에 생산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그런 대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며 “생산적인 대화가 가능한 여건이 조성되기 위해서는 일본 측이 역사 인식 문제와 과거사 현안 등에 대해 진정성 있는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 대변인은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일본이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여서 건설적인 대화가 가능한 여건이 조성이 된다면 우리로서는 대화를 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의 담화 계승 발언 이후 박 대통령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상처를 덜어 드려야 한다”고 에둘러 후속 조처를 언급한 데 이어, 이번엔 청와대 대변인이 ‘진정성 있는 조처’를 좀더 강하게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청와대가 이처럼 한-일 정상회담의 선결 조건을 거듭 강조하고 나선 것은 오는 24~25일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핵안보 정상회의에서 한-미-일 3자 회담이 열릴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미-일 3각 동맹의 회복을 원하는 미국의 요청을 뿌리치기 어려운 상황임을 고려해, 3자 회담이 열리더라도 한-일 관계 및 한-일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박 대통령의 원칙은 고수하겠다는 뜻을 확실히 해두려는 포석이라는 것이다.
실제 청와대 안팎에서는 이번 핵안보 정상회의 때 한-미-일 3자 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높고, 이럴 경우 박 대통령은 3각 동맹을 경계하는 중국을 달래기 위해 시진핑 주석과 별도 회동하는 다중 외교를 펼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석진환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