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등장해 낙마하기까지 딱 6일이 걸렸다. 하지만 6일 동안 안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은 단 하루도 거르지 않았다. 논란은 롤러코스터를 타듯 어지러웠다.
안 후보자는 지명 첫날 ‘소신파’, ‘딸깍발이’ 등 그동안 쌓은 긍정적 이미지가 전면에 부각됐고, ‘선거용’이라며 비판에 나서긴 했지만 야당도 적잖이 당황하는 기색이었다. 청문회 통과도 무난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다음날부터 곧바로 각종 의혹과 논란이 쏟아졌다. 대법관을 마친 뒤 1년 만에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해 5개월간 16억원의 막대한 수입을 거둔 사실이 문제가 됐다. 하루 평균 1000만원의 고수익에 대법관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전관예우’ 논란이 더해졌다.
그러나 안 후보자가 16억원의 수입 중 4억7000만원을 기부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비판이 다소 수그러드는 듯했다. 나아가 안 후보자는 26일 고액 수입에 대해 사과하면서 “변호사 활동으로 늘어난 재산 11억여원을 모두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밝히는 등 정면 돌파 의지를 내비쳤다. 검증 과정에서 논란을 빚었던 여느 후보자들과는 다른 모습이었다.
그러나 안 후보자가 세월호 피해자를 위해 내놓은 3억원 기부 시점이 총리 지명 직전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다시 반전됐다. 야권은 “14억원(3억+11억원)으로 총리직을 사려 한다”며 집중포화를 쏟아냈다. 여기에 증여세 납부 여부, 위장전입 의혹 등이 불거지는 등 사태는 점점 확산됐다.
안 후보자는 사퇴 당일인 28일 출근길에 “모두 제가 부족한 탓”이라고 말했지만, “청문회 때 충분히 이야기하겠다”고 말해 사퇴 뜻은 내비치지 않았다. 그러나 오후 들어 갑작스레 입장이 바뀌었다. 가족 문제가 청문회 쟁점으로 거론되고 의뢰인들이 항의하면서 고민을 한 것으로 보인다.
최현준 기자 haojun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