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청문절차 강행 의지 표명
‘야당과 일전 택했다’ 분석도 나와
‘야당과 일전 택했다’ 분석도 나와
김기춘 비서실장은 바꾸지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청와대 수석비서관 인사를 단행하며, 주변 참모진들을 김기춘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한 핵심 측근들로 재구성했다. 청와대는 또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어긋난 역사의식 등이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13일 총리의 제청이 필요한 내각 인선안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측근들을 주변에 포진시켜 ‘친정체제’를 구축하고, 여당에서도 이견이 있는 문 후보자의 청문절차를 강행하는 등 본격적인 ‘일방통행 정면돌파’를 선언한 형국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수석비서관 9명 가운데 앞서 교체된 홍보수석을 포함해 정무, 민정, 경제, 교육문화 등 핵심 요직으로 꼽히는 다섯 자리를 교체했다. 신임 조윤선 정무수석과 안종범 경제수석은 대선 때 박 대통령을 가까이서 도왔던 측근이고, 송광용 교육문화비서관도 13년 간 정수장학회 이사를 지낸 인물이다. 김영한 민정수석 역시 전임 홍경식 수석처럼 또 ‘공안통’이다.
또 예상대로 김 실장은 유임시켰다. 참모진 면면을 보면, 김 실장을 비롯해 한층 강화된 측근들로 청와대 비서진들이 구성됐다. 정치권에선 ‘앞으로도 청와대가 내각보다 여전히 우위에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여권의 한 인사는 “안대희 후보자 낙마 등으로 인사가 꼬이면서, 박 대통령이 인재풀을 넓히기보다 오히려 자신의 의중을 잘 읽는 이들을 통해 국정을 장악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 같다”는 평가를 내놨다.
하지만 야권뿐 아니라 여권 일부에서조차 ‘국정기조 변화와 인적쇄신’의 대상으로 지목해온 김 실장이 ‘물갈이’를 피해간 것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인사 검증의 최종 책임이 있는 김 실장이 안대희 후보에 이어 두 번씩이나 인사검증에 실패하고도 자리를 유지해 인적쇄신의 의미가 크게 퇴색했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확실한 측근’인 김 실장을 내보내기 보단, 야당과의 일전을 택했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박광온 새정치민주연합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박 대통령이 국민과 맞서겠다는 것이며, ‘만기친람’에 이어 만‘기춘’람으로 불통인사와 1인통치를 계속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문창극, 국무총리 자격 없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