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관 당분간 업무 수행할듯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이후 개정된 정부조직법을 반영해 18일 관련 인사를 단행하면서, 향후 소폭 개각 등 후속 인선이 있을지 여부가 주목된다. 최수현 금융감독위원장이 이날 사직서를 내면서 후임자 임명 절차가 시작됐고,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 역시 세월호 참사 현장 뒷수습이 어느 정도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면서 사의를 표명한 뒤 국회로 돌아갈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민안전처 장관 내정 등의 이날 인사는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한 것일 뿐, 향후 소폭 개각에 준하는 후속 인사는 없을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대체적인 분위기다. 여권의 한 핵심 인사는 “연말 예산 정국에다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동의, 여러 민생법안 처리 등 현안이 산적해 있다”며 “청와대도 인사 문제로 시선이 분산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인사청문회까지 밀어부칠 여력도 없다”고 전했다. 금융감독원장 인사도 최근 케이비(KB) 금융 사태 등에 대한 문책성 인사인 것은 맞지만, 금감원장 외의 금융권 전반을 재편할 만한 다른 후속 인사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이다.
다만 이주영 해수부 장관의 경우 당분간 업무를 계속 수행하겠지만, 적절한 시기에 원포인트 인사가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주영 장관의 사의표명설’에 대해 “(유임이라고) 그렇게는 볼 수 없다. (다만) 이번 인사에는 없다”고 전했다. 본인이 당으로 돌아가 원내대표 경선 준비 등을 원하고 있지만, 청와대가 후임자 물색 등을 위해 일단 시간을 좀 벌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이날 오전 신제윤 위원장 주재로 전체회의를 열어, 최수현 금감원장이 낸 사표를 수리하고 후임에 진웅섭(55) 정책금융공사 사장을 대통령에 임명제청했다. 금감원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진 내정자는 포항 동지상고를 다니다가 중퇴하고 고졸 검정고시를 거쳐 7급 공무원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해 다시 행정고시 28회로 경제관료의 길을 걸어왔다.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사무국장과 대변인, 자본시장국장, 새누리당 정무위원회 수석전문위원,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 등을 지냈다. 지난해 3월부터는 정책금융공사 사장을 맡아왔다.
석진환 황보연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