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응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5일 오전 ‘정윤회 국정개입 문서’ 유출 사건과 관련해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출석하는 길에 기자들 질문에 답하다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정윤회 국정개입 의혹’이 담긴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의 책임자로 거론되고 있는 조응천(52)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검찰에서 15시간 가량 고강도 조사를 받았다.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정수봉)와 특수2부(부장검사 임관혁)는 5일 오전 9시58분께 출석한 조 전 비서관을 다음날 새벽 1시5분까지 장시간 조사한 뒤 귀가시켰다.
조 전 비서관은 검찰청사를 나서면서 취재진에게 “제가 알고 있는 진실을 최선을 다해서 말씀드리려고 노력했다”며 “평소에 생각했던 것들을 말씀드린 것이기 때문에 (언론인터뷰와)크게 바뀔 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건 내용의 진위와 관련해 상반된 입장을 보이는 정윤회씨와 대질신문도 응할 생각이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검찰이 알아서 판단할 일이지만 제가 공직에 있으면서 일어났던 일이기 때문에 국민에 대한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대답했다. ‘정윤회씨든 누가 됐든 대질 요청이 있으면 응하실 생각이 있느냐’고 재차 묻자 “물론이다”고 강조했다.
또 ‘문건의 신빙성에 대해 6할 이상이라고 (인터뷰)한 부분을 충분히 소명했느냐’는 질문에는 “제가 알고 있는 것을 충분히 말씀드렸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이어 ‘청와대가 문건 유출에 대해 제대로 조사하지 못한 부분을 검찰 조사를 받으면서 문제제기하셨냐’는 질문에도 “필요한 한도 내에서 진술했다”고 답했다.
검찰은 이날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한 조 전 비서관을 상대로 문건 작성을 지시한 배경과 내용의 진위여부, 문건 유출의혹 등을 조사했다.
조 전 비서관은 ‘靑비서실장 교체설 등 VIP측근(정윤회) 동향’ 문건을 생산한 박관천(48·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 경정의 직속상관이다. 박 경정에게 정씨에 관한 동향 문건 작성을 지시한 뒤 이를 홍경식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김기춘 비서실장에게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청와대가 문건 유출자로 박 경정을 지목했고 그의 직속상관이 조 전 비서관이란 점에서 문건의 작성부터 관리, 유출까지 조 전 비서관이 상당부분 알고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 전 비서관은 검찰 조사에서 문건 내용의 신빙성은 인정하면서도 문건 유출을 공모하거나 자신이 개입한 의혹은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조 전 비서관의 진술내용과 박 경정의 진술을 비교한 뒤 필요할 경우 다음주 1~2차례 추가로 소환할 계획이다.
앞서 조 전 비서관은 이날 오전 9시58분께 변호인 없이 홀로 출석해 “주어진 소임을 성실하게 수행했을 뿐 함께 일했던 부하 직원들에게 부끄러운 짓을 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