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청와대에서 열린 ‘여야 대표 초청 간담회’는 지난 2012년 대선 때 맞붙었던 박근혜 대통령과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첫 공식 만남이라는 점에서 더 관심이 쏠렸다. 애초 예정된 1시간을 훌쩍 넘겨 1시간45분 정도 진행된 이날 간담회는 반가운 인사로 출발했다. 하지만 실제 회담에선 현안을 놓고 이견을 보이면서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김무성 대표의 배려로 접견실에 가장 먼저 입장한 문 대표는 박 대통령과 반갑게 악수하며 인사를 나눈 뒤 “오랜만에 뵙습니다. 순방 뒤라 피곤하실 텐데 이렇게 또…(간담회까지)”라고 인사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문재인) 대표님 취임 이후 정식으로 뵙는 게 처음인데, 다시 한 번 축하드립니다”라고 화답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인사말을 통해 “정부의 정책들은 국회 입법을 통해 마무리된다. 경제가 크게 일어나는 초석이 될 수 있도록 대표님들께서 많이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반면 문 대표는 미리 준비해 온 원고를 통해 현 정부의 경제정책을 비교적 강도높은 용어를 써가며 비판했다. “정부의 경제정책은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실패했다”고 평가했고, “경제민주화와 복지도 후퇴했다”, “부동산과 금리 등 단기부양책만 내놓아 근본대책이 보이지 않는다”, “전월세값 폭등은 보편적 주거복지 공약을 파기한 것” 등 날선 발언들을 이어갔다.
간담회의 또다른 한 축인 김무성 대표는 박 대통령과 문 대표 사이에서 조정자 역할을 자처했다. 김 대표는 “(제가) 3·1절 기념식 때 (회담을) 요청한 것에 대해 이렇게 초대해주셔 감사하다. 이번 좋은 만남을 통해 상생정치를 이뤄내고 경제위기를 극복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간담회를 앞두고 새정치연합은 구체적 합의안 도출을 원했으나,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구체적 합의가 쉽지 않다며 부정적인 입장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가 이번 만남을 표현하며 ‘회담’이 아닌 ‘간담회’라는 용어를 고집한 것도, 애초부터 뚜렷한 합의안을 내기보다는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협조를 당부하는 수준으로 생각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석진환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