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논평 없이 ‘거리두기’ 행보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 발언엔 당혹
추경예산 등 당청 협의 재개 움직임도
박근혜 대통령이 8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전국 시장·군수·구청장과의 오찬에서 지방자치 20주년 동영상을 보고 있다. 이정용 기자 lee312@hani.co.kr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사퇴 소식이 전해진 8일, 청와대는 아무런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유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가 해결된 만큼, 추가 발언으로 논란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유승민 체제’에선 중단했던 당청 협의도 재개할 움직임이 감지된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8일 “새누리당 의원들의 총의로 (유 원내대표 사퇴가) 결정된 일인데, 청와대에서 특별히 드릴 말씀은 없다”며 유 원내대표 사퇴가 ‘대통령 뜻’이 아닌 ‘새누리당 의원들의 결정’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민 대변인은 “당청 관계에 대해선 앞으로 잘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유 원내대표는 “법과 원칙, 정의를 지키고 싶었다”는 말로 사실상 박근혜 대통령을 정면비판했지만, 청와대는 이에 대해서도 별도의 언급을 피했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갈등을 증폭시킬 이유가 없다. 이 문제로 더 이상 왈가왈부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 원내대표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라고 언급해 대통령이 삼권분립 원칙을 훼손한 것을 문제 삼은 것에 대해 당혹스러워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청와대는 유 원내대표 사퇴 이후 당청 관계가 복원될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새로운 원내대표 선출 등을 지켜봐야겠지만 추가경정예산 등 시급한 현안이 많아 당청 협의 재개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대통령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