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창조경제혁신센터장과 지원 기업 대표 간담회를 마친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황창규 케이티그룹 회장,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손경식 씨제이그룹 회장, 김창근 에스케이그룹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허창수 지에스그룹 회장, 박 대통령,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 구본무 엘지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권오준 포스코그룹 회장. 청와대사진기자단
대기업 총수 등과 청와대 오찬
박근혜 대통령이 24일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 17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최근 출범을 마무리한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지원과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을 요청했다. 다음달로 임기 절반을 맞는 박 대통령이 주요 국정 전략인 ‘창조경제’의 성과를 구체화하고, ‘경제살리기’를 위해 재벌들이 동참해줄 것을 공식적으로 요구한 것이다. 임기 전반기에는 재벌과 거리두기를 해왔던 박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에는 재벌들과의 관계 개선에 나설지 주목된다.
청년 고용 확대도 요청
총수들쪽 “최선 다할 것”
기업인 사면 논의 안했지만
향후 ‘관계개선’ 여부 주목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전국 17곳의 창조경제혁신센터장과 각 센터를 전담해 지원하는 대기업의 총수 17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간담회를 열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기업 대표 여러분께서는 혁신센터를 사회공헌뿐만 아니라 기업의 지속성장을 이끄는 동력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어 “(혁신센터) 지원기업 대표 여러분께서는 직업훈련, 일·학습병행제 등 다양한 인재양성 노력과 함께 유망한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가 많이 제공될 수 있도록 신규 채용에 적극 나서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창조경제의 ‘구체성’에 대한 논란을 의식한 듯 “이 자리가 아직도 창조경제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는 공허한 인식을 불식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에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은 “우리 기업들은 보다 속도감 있게 박차를 가해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한 뒤 “정부, 지자체, 지역기업과 함께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구본무 엘지그룹 회장과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은 이날 간담회에서 현재까지의 성과와 지원 방향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이날 오찬간담회에서는 재계가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기업인 사면’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인 사면 주제가 행사 성격에 맞지 않는데다, 이미 재계를 대표하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과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기업인 사면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재 집행유예 중으로 사면 대상자로 거론되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간담회에 참석하는 등, 재계에 고용·투자 확대를 요구하는 수단으로 박 대통령이 사면 카드를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박 대통령은 2012년 대선 당시 경제법치 확립을 위해 ‘대기업 지배주주·경영자 사면 제한’ 등의 경제민주화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한국갤럽은 이날 전국 성인남녀 1003명에게 ‘경제인 사면’ 의견을 물은 결과, 54%가 ‘사면에 반대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찬성한다’는 답은 35%였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한성대 교수)은 “박 대통령은 정치권력이 앞장서서 경제권력을 끌고가는 1960년대 경제개발 방식을 이어가고 있다”며 “임기 절반까지 경제적 측면에 대한 성과가 없다는 조바심에 결국 재벌의 손을 잡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총수들쪽 “최선 다할 것”
기업인 사면 논의 안했지만
향후 ‘관계개선’ 여부 주목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전국 17곳의 창조경제혁신센터장과 각 센터를 전담해 지원하는 대기업의 총수 17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간담회를 열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기업 대표 여러분께서는 혁신센터를 사회공헌뿐만 아니라 기업의 지속성장을 이끄는 동력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어 “(혁신센터) 지원기업 대표 여러분께서는 직업훈련, 일·학습병행제 등 다양한 인재양성 노력과 함께 유망한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가 많이 제공될 수 있도록 신규 채용에 적극 나서주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또 창조경제의 ‘구체성’에 대한 논란을 의식한 듯 “이 자리가 아직도 창조경제가 무엇인지 잘 모른다는 공허한 인식을 불식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에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은 “우리 기업들은 보다 속도감 있게 박차를 가해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화답한 뒤 “정부, 지자체, 지역기업과 함께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구본무 엘지그룹 회장과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은 이날 간담회에서 현재까지의 성과와 지원 방향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이날 오찬간담회에서는 재계가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기업인 사면’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기업인 사면 주제가 행사 성격에 맞지 않는데다, 이미 재계를 대표하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과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기업인 사면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재 집행유예 중으로 사면 대상자로 거론되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간담회에 참석하는 등, 재계에 고용·투자 확대를 요구하는 수단으로 박 대통령이 사면 카드를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박 대통령은 2012년 대선 당시 경제법치 확립을 위해 ‘대기업 지배주주·경영자 사면 제한’ 등의 경제민주화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한국갤럽은 이날 전국 성인남녀 1003명에게 ‘경제인 사면’ 의견을 물은 결과, 54%가 ‘사면에 반대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찬성한다’는 답은 35%였다.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한성대 교수)은 “박 대통령은 정치권력이 앞장서서 경제권력을 끌고가는 1960년대 경제개발 방식을 이어가고 있다”며 “임기 절반까지 경제적 측면에 대한 성과가 없다는 조바심에 결국 재벌의 손을 잡은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