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70주년 광복절 중앙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일본 언론들은 박근혜 대통령의 15일 광복절 경축사 내용을 근거로 한국 정부가 아베 담화에 대한 비판을 자제하며 한-일 관계의 개선을 모색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16일 “아베 담화를 둘러싸고 미국이 내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자세를 보였고, 중국과 한국도 대일 관계를 고려해 비판을 억제했다. 아베 정권도 이후 각국의 동향을 주시해 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박 대통령은 광복절 경축사에서 “1965년 국교 정상화 이래 고노담화, 무라야마 담화 등 역대 일본 내각이 밝혀온 역사 인식은 한-일 관계를 지탱해 온 근간이었다. 그러한 점에서 아베 담화는 우리로서는 아쉬운 부분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라면서도 “(지난 전쟁에 대한) 역대 내각의 입장이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국제사회에 분명하게 밝힌 점을 주목한다”고 했다.
(▶ 바로 가기 : [전문] 박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마이니치신문>은 한발 더 나아가 ‘(한국의) 대일 관계 개선을 위한 강한 의지’라는 기사에서 청와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정부는) 아베 담화는 총리 자신의 사죄나 위안부라는 단어가 들어가지 않는 등 충분치 않았지만, 담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박 대통령이 연설에서 구체적인 비판을 피한 것은 일본에 대한 배려”라고 지적했다.
<요미우리신문>도 “박 대통령이 냉각된 일-한 관계의 개선을 의도하고 있다. 담화가 저해 요인이 되지 않는다는 자세를 보여 서울에서 조기 개최를 추진 중인 일-중-한 정상회담에 맞춰 일-한 정상회담의 실현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지적했다. 일본 언론들은 한국 정부가 서울의 일본 특파원들이 박 대통령의 메시지를 “오해하지 않도록” 이날 연설에서 일본과 관련된 부분을 따로 일본어로 번역해 이메일로 보내왔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일본 극우를 대변하는 <산케이신문>의 분석도 비슷했다. 신문은 “박 대통령이 일본의 역사 인식보다 한국 경제의 회복을 우선시해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한국 언론들이 일본(비판)을 고집하는 가운데 경제에 더해 북한 문제 등을 무시할 수 없는 현실을 반영한 모양이 됐다”는 해석을 내놨다.
한국 언론들이 15일치 조간에서 아베 담화의 부족한 부분을 강하게 비판 했지만, 한국 정부의 반응은 이와는 사뭇 달랐음을 강조한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박 대통령이 아베 담화에 대해 일종의 평가를 하며 관계 개선을 하고 싶다 뜻을 내비쳤다. 종군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한 성과를 우선하기 위해 일본에 대한 불만을 봉인하고, 양보를 요구하는 모양새”라고 지적했다.
도쿄/길윤형 특파원 charis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