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5일 청와대에서 제43회 국제기능올림픽 선수단과의 오찬장에 들어서며 참석자들의 박수를 받고 있다. 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남북 대화 합의에 힘입어 급등해 50%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갤럽은 지난 25∼27일 전국 성인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가 49%, ‘부정 평가’는 44%로 나왔다고 28일밝혔다. ‘긍정 평가’는 지난주 조사보다 15%포인트 오른 것이다. 부정 평가는 12%포인트 낮아졌다.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를 앞선 것은 지난해 11월 이후 10개월 만이다.
긍정 평가를 연령대별로 보면 △20대 20% △30대 22% △40대 46% △50대 69% △60살 이상 80%였고, 부정 평가는 △20대 72% △30대 69% △40대 50% △50대 23% △60살 이상 14% 등이었다.
갤럽은 그동안 30%대에 머물던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급등한 것은 지난 25일 남북 고위급 회담 결과가 성공적으로 평가받은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했다. 긍정 평가 응답자 가운데 38%가 그 이유로 ‘대북·안보’ 정책을 꼽았다.
갤럽은 “전반적으로 긍정 응답률이 상승한 가운데 40대와 50대에선 20%포인트 넘게 치솟았다”며 “특히 50대와 60살 이상의 긍정 응답률은 지난해 ‘세월호 참사’ 이전 수준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정당 지지율은 △새누리당 44% △새정치민주연합 21% △정의당 4%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지지율은 지난주보다 3%포인트 상승해 3개월 만에 올해 최고치를 회복했다. 새정치연합 지지율은 3%포인트 하락했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의 지지율 격차도 23%포인트로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박 대통령 지지율 급등의 주요 요인인 남북 고위급 회담에 대해선 응답자의 65%는 “잘됐다”고 평가했고 16%는 “잘못됐다”고 평가했다. 나머지 19%는 의견을 유보했다. 잘됐다고 보는 이유로는 △대화·합의·평화로운 해결’ 23% △긴장 완화·준전시 상황 해제’ 22% △유감 표명·사과 13% △강경·단호·원칙 대응 10% 등의 차례였다. 잘못됐다는 이유는 △사과 없이 유감 표현 미흡 30% △성과 부족 16% 등이었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 표본추출 방식으로 휴대전화 인터뷰를 통해 이뤄졌다. 응답률은 20%, 표본오차는 ±3.1%포인트에 신뢰수준 95%이다.
디지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