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일방파기 등 변수 많아
5·24 해제 등 속내 파악도
5·24 해제 등 속내 파악도
남북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을 9월7일 판문점에서 열기로 합의하면서,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는 북쪽의 전향적인 자세를 반기면서도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얼마 전까지 긴장관계를 유지하던 북이, 갑작스레 태도를 바꾼 속내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30일 “이산가족 상봉은 예전부터 해오던 것이고, 북쪽이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할 수 있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8·25 합의항 6개 가운데 가장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항목도 이산가족 상봉이다. 이 관계자는 “과거 남북관계에서 북쪽이 (상봉) 약속을 일방파기하는 경우도 많아 일단은 신중하게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적극적인 관계개선 의지 표명이 5·24조치 해제나 금강산 관광 재개 등 실리를 얻어내기 위한 전략일 수 있고, 오는 10월10일 북한이 노동당 창건 70주년에 맞춰 장거리 로켓 발사 시험을 하는 등 무력시위를 벌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청와대의 우려다.
그러면서도 청와대 내부에선 이산가족 상봉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것에 대해 안도하는 분위기다. “이산가족 문제의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겠다”는 게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만큼, 청와대는 10월 초로 계획된 이번 이산가족 행사는 물론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생사 확인 등에 공을 들이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8월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도 “남북 이산가족 명단 교환을 연내에 실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는 이와 함께 8·25 합의문에 명시된 ‘관계개선을 위한 당국회담’과 ‘다양한 분야의 민간교류 활성화’ 등도 이산가족 상봉 실무접촉 등을 살펴보며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