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일 청와대에서 정상회담 전 기념촬영을 하며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90분 회담에 외교안보 핵심라인 배석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2일 청와대에서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한다.
한일 정상이 한자리에 대좌하는 자리가 2012년 5월 이후 3년 반 만에 마련된 만큼 청와대는 일단 이번 정상회담에서 충분한 시간을 갖고 협의한다는데 방점을 찍고있다.
이날 정상회담은 계획상으로는 △오전 10시 아베 총리의 방명록 서명 및 기념촬영 △오전 10시10분 단독 정상회담 △오전 10시40분 확대정상회담 순으로 대략 1시간30분간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양 정상이 진행하는 단독회담에는 소수의 외교안보 핵심라인만 배석할 것으로 알려져 이 자리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양국 쟁점 현안과 관련해 대화가 오갈 것으로 예상된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베 총리의 진전된 언급 여부나 실제 의중도 여기서 드러날 전망이다.
정상회담에 앞서 양국 외교라인이 수차례에 걸쳐 협의를 진행했지만, 평행선을 달렸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결국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단독회담에서 어떻게 담판을 벌이는가에 따라 위안부 문제의 모멘텀이 마련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회담은 동시통역이 아닌 순차통역 형태로 진행되며, 현재로선 오찬이나 공동 기자회견 등의 일정은 확정된 게 없다.
하지만, 이는 말 그대로 계획상의 일정일 뿐 회담 시간이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점심시간 임박해서까지 회담이 진행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반대로 위안부 문제 등에서 진전이 없을 경우 회담 시간이 계획보다 짧아질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현재까지 한일 당국이 확인해준 정상회담의 의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양국 현안’이다.
따라서, 핵심현안인 과거사 문제를 비롯해 우리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가입 문제, 북한 급변사태시 일본 자위대의 한반도 진출범위 논란 및 안보법제 문제, 북핵 등 한반도 비핵화, 아베 총리가 전날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언급한 북한의 일본인 납치문제 등이 광범위하게 논의될 수 있다는 전망도 일각에서 제기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충분한 시간을 갖고 심도있게 논의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고, 특별히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는 입장”이라며 “현재로선 회담이 끝나는 시간을 확정할 순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현재로선 아무 것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공동 기자회견은 없지만 회담의 성과가 있으면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