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통신> 보도…
“아베,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 10억엔 입금완료 얘기하며 소녀상 철거 희망”
청와대 “아베 언급 확인해줄 수 없어…
박대통령은 미래지향적 발전 바란다고 언급”
“북핵·미사일 문제
한·미·일 3국 강력 공조” 합의
“아베,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 10억엔 입금완료 얘기하며 소녀상 철거 희망”
청와대 “아베 언급 확인해줄 수 없어…
박대통령은 미래지향적 발전 바란다고 언급”
“북핵·미사일 문제
한·미·일 3국 강력 공조” 합의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7일(현지시각) 박근혜 대통령과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한 정상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의 철거를 원한다는 뜻을 공식적으로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2·28 ‘위안부’ 피해자 합의에 소녀상 철거가 포함돼 있다는 인식을 일본 정상이 공식적으로 밝힌 셈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일본 <교도통신>은 아베 총리가 이날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합의에는 서울 일본대사관 앞의 위안부 피해를 상징하는 소녀상 철거가 포함된다는 인식을 전하고 ‘합의의 착실한 실시를 향해 노력을 부탁하고 싶다’고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한국이 한국이 설립한 위안부 피해자 지원 재단에 10억엔(약 107억5천만원) 입금을 완료한 것 등 일본의 대응을 설명하고서 이런 의사를 표명했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이에 청와대 관계자는 소녀상 문제가 정상회담에서 언급되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아베 총리 발언에 대해 제가 확인해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박 대통령은 소녀상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12·28 합의의 성실한 이행으로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를 바란다는 취지의 언급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앞서 청와대는 이날 밤 <교도통신>의 보도가 나오기 전 공식 브리핑에서 “양국 정상은 지난해 12·28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를 계기로 양국 관계에 긍정적 모멘텀이 형성된 만큼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이 “위안부 합의 이후에 한-일 관계가 개선되면서 다양한 도전과 과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토대를 넓혀가고 있어서 뜻깊게 생각한다”고 평가했다고 전했다. 또 박 대통령은 “특히 ‘화해·치유재단’ 사업을 통해 피해자분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가 하루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앞으로도 계속 협력해나가자”고 밝혔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아베 총리도 “지난해 말 위안부에 대한 합의 이후 일-한 관계가 긍정적으로 발전하고 있어 기쁘다. 박 대통령과 함께 미래지향의 협력을 추진해 일-한 신시대를 구축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엔에이치케이>(NHK) 등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양국 정상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을 포함해 북한 핵·미사일에 대해 한·미·일 3국이 강력하게 공조해 대응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박 대통령은 회담에서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는 한·일 양국 모두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는데, 이런 북 도발에 대한 대응은 물론이고, 북한의 비핵화 달성을 위해 양국이 더 긴밀히 협력해 나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도 “엊그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형언할 수 없는 폭거라고 생각한다. 유엔 안보리를 포함해 일-한 간 협력해서 대응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중국 항저우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고 있던 지난 5일,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일본방공식별구역(JADIZ)에 떨어진 바 있다.
양국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한-일-중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방안도 협의했다. 앞서 일본 <교도통신>은 일본 정부가 3국 정상회의를 11월 하순부터 12월 초순 사이 일본에서 개최하는 방향으로 한국·중국 쪽과 조율을 시작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한-일-중 정상회의 올해 의장국은 일본으로, 개최가 최종 확정되면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이후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하게 된다.
비엔티안(라오스)/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박근혜 대통령이 7일 오후(현지시각) 라오스 비엔티안 국립컨벤션센터(NCC)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비엔티안/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