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취임 후 첫 전화통화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취임 뒤 첫 전화통화에서 "우리 국민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위안부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밝혔다.
윤영찬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은 25분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취임 첫 전화통화를 하고 위안부 합의와 북행 등 양국 간 현안을 논의했다”며 대화 내용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2015년 박근혜 정부 당시 진행된 위안부 합의와 과거사 문제에 대해 “양국이 성숙한 협력 관계로 나아가는 데 있어 과거사 문제 등 여러 현안이 장애가 되지 않게 역사를 직시하면서 이런 과제들을 진지하게 다뤄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미래 지향적인 한일관계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 착실히 이행하길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고, 문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를 포함한 과거사 문제는 우리가 양국관계 발전시켜 나감에 있어 함께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길 희망한다. 일본 지도자들께서 과거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 김대중-오구치 공동선언의 내용과 정신을 계승하고 존중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답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우리 국민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위안부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며 “민간 영역에서 일어난 문제에 대해 정부가 해결하는 건 한계가 있어 시간이 필요하다. 그런 국민의 정서와 현실을 인정하면서 양측이 공동으로 노력하자”고 밝혔다. 그러나 통화에서 위안부 합의 ‘재협상’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위안부 합의 재협상을 주장해왔다.
<엔에이치케이>(NHK) 등 일본 언론들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이날 문재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이행을 촉구했다고 전했다.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 “양국이 약속한 것으로 국제사회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책임을 가지고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고 일본 언론들을 보도했다.
이승준 기자, 도쿄/조기원 특파원
gam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