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오후 5시37분부터 6시11분까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 통화를 갖고, 북한의 6차 핵실험에 이은 미사일 발사 등 연이은 도발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청와대제공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15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뒤 이뤄진 전화통화에서, 우리 정부의 인도적 대북지원 사업을 놓고 이견을 보였다.
두 정상은 이날 오후 5시37분부터 34분간 통화를 하고, 북한이 지난달 29일에 이어 또다시 이날 일본 상공을 통과하는 미사일을 발사한 데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통화에서 아베 총리는 우리 정부가 유엔아동기금(UNICEF)과 세계식량계획(WFP) 등 유엔 기구의 요청에 따라 북한에 800만달러를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한 데 대해 “시기를 고려해달라”는 뜻을 전했다고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에 문 대통령은 “세계식량계획과 유엔아동기금이 북한의 영유아와 임산부에 대한 사업 지원을 요청해 와 검토하게 된 것이며, 원칙적으로 영유아와 임산부를 지원하는 것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다루어야 할 사안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또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현재 북한이 핵 및 미사일 도발을 계속하고 있는 등 제반 상황 등을 종합 감안하여 시기 등 관련사항을 판단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언젠가 인도적 지원을 하게 되어도, 현금이 아닌 현물로, 영유아나 임산부 등 필요한 사람들에게 전달되는지 모니터링하는 것이 전제”라고 말했다.
통화에서 문 대통령은 “대북 도발에 확고하게 대응하되, 긴장이 격화되어 자칫 우발적 충돌로 이어지지 않도록 한·일 양국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도록 협력하자”고 제안했다. 아베 총리도 “한반도 전쟁으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결코 원하지 않는다”는 뜻을 나타냈다고 박 대변인은 전했다.
두 정상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해 북한을 대화의 테이블로 끌어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으고, 다음주 열리는 유엔 총회에서 실효적 조처를 논의하기로 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