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현지시간) 제72차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인트레피드 해양,항공,우주 박물관에서 개최된 아틀란틱 카운슬 주관 세계시민상 시상식에 참석해 2017년도 세계시민상을 수상하고 소감을 말하고 있다. 뉴욕/청와대 사진기자단
청와대는 19일(현지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미국이 위협받으면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고 강경한 대북 경고를 한 것과 관련해 “국제사회와 유엔이 당면한 평화와 안전 유지와 관련한 주요 문제에 대해 확고하고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도 높은 대북 발언이 종전 입장에서 큰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누그러뜨리면서, 21일로 예정된 문 대통령의 기조연설과 곧이어 열릴 한-미 정상회담의 악재로 번지는 것을 경계하는 분위기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뉴욕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미국 대통령으로서 이례적으로 긴 시간을 할애해 북핵 및 북한 문제에 대해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미국 정부가 이 문제를 얼마나 심각하게 보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었다”며 “오늘 (트럼프 미 대통령의) 북한 관련 연설은 한미 양국정상이 그간 누차 밝힌 바 있듯, 북한의 엄중한 핵미사일 도발에 대해 최대한도의 제재와 압박을 통해 북한으로 하여금 비핵화만이 미래를 위한 유일한 길이라는 점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유엔총회 기조연설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둔 문재인 대통령의 고심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번 뉴욕 방문 동안 영국·체코·세네갈 등 여러 정상과 만나 유엔의 새 대북제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면서 동시에 평화적 방식으로 북핵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두 축을 동시에 강조해왔다.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도 이런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완전 파괴’ 발언을 고려해야 한다. 유엔의 상징성을 적극 활용하고, 평창동계올림픽을 매개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법을 강조하려던 애초 구상에서 어느 정도 톤 조절을 할지 관심이 쏠린다.
뉴욕/김보협 기자 bh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