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후 베트남 다낭 푸라마호텔에서 열린 아펙(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기업인자문위원회(ABAC)와의 대화에 참석했다. 오른쪽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가운데는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다낭/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일 오후 아펙(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가 열리는 베트남 다낭에서 한-중 양자 정상회담을 연다고 청와대가 10일 발표했다. 시차를 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각각 정상회담을 한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이 마주 앉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 갈등을 딛고 한-중 관계 정상화를 한껏 과시할지 주목된다.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달 31일 두 나라가 동시에 발표한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에 따른 것이다. 당시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은 이번 정상회담에 대해 “양국 관계 개선과 관련해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정상적인 발전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켜 나가기로 한 합의 이행의 첫 단계 조치”라고 말한 바 있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의 정상회담은 지난 7월 독일 함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에 이어 두번째다.
정상회담에서는 북한 핵·미사일 대응 방안과 한-중 무역 통상 문제가 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양쪽은 지난 협의에서 한반도 비핵화 실현과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원칙을 재확인하고 모든 외교적 수단을 통해 북핵 문제 해결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가자는 데 합의한 바 있다. 한국 쪽은 중국의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 이행 노력에 감사를 표하고 향후에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달라고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중국은 ‘쌍중단(북 핵·미사일 활동과 한-미 연합훈련 중단)-쌍궤병행(한반도 비핵화, 북-미 평화체제 병행)’이라는 기존 해법을 설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 주석은 전날 중국을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평화·안정, 대화·협상’이라는 중국의 한반도 ‘3대 견지’ 정책을 언급했다. 한·중 정상은 사전 협의 과정에서 서로 ‘봉인’하기로 한 사드 문제는 의제로 다루지 않을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무역국이고, 한국은 중국의 세번째 교역 상대국인 만큼 통상 무역 문제도 주요하게 다뤄질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투자 분야 후속 협상과 한-중 통상 채널 확대 등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은 국정 과제인 일대일로(21세기 육상과 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에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양국 정상의 셔틀외교가 복원될지도 주목된다. 청와대 쪽은 이번 정상회담 뒤 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안에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이 내년 2월 평창겨울올림픽 참석차 방한하는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연내 한-중 정상회담 성사와 관련해 분위기가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3 정상회의(13~14일)가 열리는 필리핀 마닐라에서는 중국의 2인자인 리커창 총리와도 회담할 예정이다.
한편, 1박2일간의 인도네시아 국빈방문을 마치고 10일 오후 다낭에 도착한 문 대통령은 11일 오전에는 쩐다이꽝 베트남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다.
성연철 김지은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