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11일 아펙(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가 열린 베트남 다낭에서 만나 한-중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중국 베이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열고 수교 25돌을 맞은 양국 관계 발전 방안과 북한 핵·미사일 문제 해결에 관해 협의한다.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시진핑 주석의 초청으로 13일부터 16일까지 3박4일간 중국을 국빈 방문한다”며 “한-중 수교 25주년이 되는 해에 이뤄지는 문 대통령의 국빈 방문은 한-중 양국간 신뢰를 회복하고 정상간 우의를 돈독히 함으로써 교류와 협력을 본격적으로 정상화시켜나가는 기반을 다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두 정상은 아울러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협력을 포함, 역내 국제사회의 평화 안정, 번영 증진을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있는 협의를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남 차장은 “문 대통령은 14일 오후 인민대회당에서 개최되는 공식 환영식 참석해 국빈 방문 중 중요한 공식 일정을 시작한다”며 “환영식에 이어 이날 오후 시 주석과 확대 및 소규모 정상회담을 열고 정상간 우의와 신뢰를 돈독히 할 것이다. 양국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인적 교류 등 제반 분야에서의 협력을 강화하여 성숙하고 미래 지향적인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켜나가는 방안을 협의할 것이다”라며 “북핵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한반도 평화 정착과 동북아는 물론 신북방, 신남방 정책과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의 연계 추진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 증진 방안에 대해 심도 있게 협의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정상회담 뒤 별도의 공동 성명은 내지 않는 대신 공동 언론 발표문을 내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시 주석 뿐만 아니라 리커창 총리, 중국의 국회의장 격인 장더장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장을 비롯해 시 주석의 측근으로 알려진 천민얼 충칭시 당 서기 등과도 연쇄 회동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중국 서부 대개발과 일대일로(육, 해상 실크로드를 잇는 경제벨트) 사업의 관문인 충칭 직할시에서는 마지막 임시정부 청사도 방문한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