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3일 오후 베이징 완다 소피텔 호텔에서 열린 재중국 한국인 오찬 간담회에서 추자현(오른쪽에서 둘째)-우효광(맨 오른쪽) 부부와 건배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을 국빈방문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중국 난징대학살 80주기를 맞아 중국 국민들에게 위로의 말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방중 첫 일정으로 베이징 완다문화주점에서 열린 재중국 한국인 간담회에 참석해 연설했다. 문 대통령은 “(한, 중) 두 나라는 제국주의에 의한 고난도 함께 겪었고, 함께 항일투쟁을 벌이며 어려운 시기를 함께 헤쳐 왔다”라며 “오늘은 난징대학살 80주년 추모일이다. 우리 한국인들은 중국인들이 겪은 이 고통스러운 사건에 깊은 동질감을 가지고 있다. 저와 한국인들은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희생자들을 애도하며 아픔을 간직한 많은 분들께 위로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난징 대학살은 1937년 12월13일 일본군이 국민당 정부의 수도 난징을 점령한 뒤 이듬해 2월까지 대량 학살과 강간, 방화 등을 저지른 사건으로 이 기간 동안 약 30만명의 중국인이 학살됐다. 일본 우익들은 아직도 난징 대학살을 부정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난징 대학살에 관한 위로를 전하면서 제국주의 침략을 함께 겪은 중국과의 역사적 유대감을 상기시키려 한 것 같다.
문 대통령은 새로운 한-중 관계를 일궈 나가겠다고 했다. 그는 재중 한국인들에게 “그동안 사드 여파로 얼마나 고생이 많으셨느냐. 저와 온 국민들도 참으로 답답하고 안타까운 심정이었다”고 말한 뒤 “비온 뒤 땅이 더 굳어지듯이 이번 국빈 방문으로 양국의 신뢰가 회복되고 한중 관계의 새로운 시대가 열리길 기대한다. 무엇보다 양국 국민들의 마음이 다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수교 이후) 지난 25년 동안 한중 관계는 경제 분야에서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나 정치 안보 분야에서는 이에 미치지 못했다”며 “앞으로 한-중 관계를 경제 분야의 발전에 걸맞게 다양한 분야에서 고르게 발전시킴으로 한-중 관계가 외부 갈등 요인에 흔들리지 않게 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평창 겨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재중 한국인들의 성원도 부탁했다. 그는 “1988년 동서 양 진영이 모두 참석했던 서울 올림픽은 냉전 종식의 장이었다”며 “이번 평창 올림픽도 동북아, 더 나아가 전 세계의 평화와 화합에 기어햐는 세계인의 축제로 만들어 가고자 한다. 평창 겨울 올림픽이 한-중 양국의 우의를 증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더욱 큰 관심과 성원을 보내달라”고 당부했다.
간담회에는 중국 내 67개 지역한인회와 6개 지역연합회를 포괄하는 한인단체인중국한국인회 회장단과 독립유공자 후손 5명, 11쌍의 한중 다문화 부부, 혁신창업가등 400여명이 자리를 함께했다. 독립유공자 후손으로는 김진성 지사의 아들 김세룡씨, 김동진 지사의 딸 김연령씨 및 손자 김과씨, 김산 지사의 아들 고영광씨 및 손자 고우원씨가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연설 중에 “이 자리에 계신 후손 한분 한분의 가슴에는 그 어떤 훈장보다 빛나는 애국애족의 정신과 한-중 우호의 역사가 깃들어 있다”면서 참석한 독립유공자 후손들의 이름을 일일이 불렀다. 또 국내 텔레비전을 통해 널리 알려진 한중 다문화 연예인 부부인 추자현·우효광씨도 참석했다. 혁신창업가로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온라인 수학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쿠얼키의 조봉한 대표와 인공지능 석션기 제조사 엘메카의 강정길 대표가 포함됐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