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재외공관장 초청 만찬에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임종석 청와대 비서실장의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방문 목적과 관련한 야당의 의혹 제기에 청와대가 19일 거듭 해명에 나섰다. 해명 요지는 “아랍에미리트가 외교다변화 차원에서 중동의 전략적 랜드마크 국가인 만큼 파트너십 강화를 위해 방문했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아랍에미리트는 대한민국 입장에서 보면 외교 다변화의 한 축인 중동국가 가운데 전략적 랜드마크라고 할 수 있다”며 “임 실장이 아랍에미리트 왕세제를 접견한 것은 양 국가 간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문재인 대통령도 아랍에미리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아랍에미리트를 전략적 랜드마크로 규정한 것은 문재인 정부에서 한 게 아니라 이명박 전 대통령 시절부터 국가적 사업으로 진행해온 것”이라며 “이명박 대통령 시절과 박근혜 정부 초기까지도 (아랍에미리트와의 관계가) 잘 유지되어 왔는데 박근혜 정부 중·후반부부터 파트너십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했다. 그는 “문 대통령도 아랍에미리트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정상들과 과거 통화할 때 아랍에미리트 왕세제와도 통화를 했다는 점을 상기해달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6월7일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랍에미리트 왕세제와의 통화하며 “양국 협력의 상징인 바라카 (원전) 프로젝트는 반드시 성공적으로 완수되어 앞으로 약 100년간 양국의 기술력과 안정성을 전 세계에 알리게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한 바 있다.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추진하자 과거 정부 때 총 74조원 대의 원전 건설 사업을 발주했던 아랍에미리트 쪽이 자국 원전 운영 등을 우려해 항의했고, 이를 수습하려 임 실장을 급파했다는 야당과 일부 보수 언론들의 주장에 관해서는 “전제가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그는 “아랍에미리트 원전 사업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사업에 대한 문제제기 때문에 임 실장이 방문했다는 것은 사실 관계의 초기 진단부터 잘못됐다”며 “왕세제를 만났을 때 원전 문제에 관해 구체적으로 언급한 적이 없다. 뭘 숨겨야 하는 사연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그럼 어떤 국가적 현안을 논의했느냐’는 의문이 있을 수 있지만 아랍에미리트가 왕정 국가이고 의전 규칙상 비공개가 그 나라 나름의 규칙이다”며 “정상급 간에 있었던 대화를 구구절절히 브리핑 할 수 없다는 점을 양해해달라”고 말했다. 그는 “임 실장은 대통령 특사로 방문을 했고, 양국의 파트너십을 강화하는데 단초가 됐다라는 자평이다. 향후 아랍에미리트와 정상급간 교류를 통해 국민들께 (결과가) 자연스레 보고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서동욱 국정원 1차장이 임 실장과 대동한 것과 관련해서는 “국정원 1차장은 해외 업무 파트 담당자로 주요 인사들의 해외순방 때 동행할 수 있다. 그러나 국정원 간부가 행보를 할 때는 공개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