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 직후인 지난해 5월10일 오전 현충원을 참배하러 서울시 홍은동 자택을 나서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지난달 초 홍은동 사저를 매각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17일 “문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돼 관저에 입주하기 전까지 거주하던 서울 홍은동 사저를 지난 달 매각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 내외는 2012년 대선 때부터 딸 다혜씨 명의인 서울 구기동 집에 머물러 왔다. 그러다 2016년 1월 김정숙 여사 명의로 홍은동 사저를 매입해 지난해 5월 청와대 관저로 이사하기 전까지 1년4개월 간 거주했다.
문 대통령은 참여정부 마지막 비서실장으로 공직에서 물러난 이후 경남 양산 자택에 머물러 왔으나, 정계에 몸담게 되면서 서울에 거처가 필요해 홍은동 사저를 매입해 1가구 2주택자가 됐다. 그러나 관저 생활을 하게 되면서 홍은동 사저가 필요 없게 되자 이를 처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정부가 주택 안정 정책의 하나로 내년 4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방침을 밝히면서 다주택자에게 내년 4월까지 거주하지 않는 집은 매각할 것을 권고한 것도 사저 매각을 결정한 배경으로 전해졌다. 홍은동 사저를 매입한 사람은 김재준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실 행정관으로 알려졌다. 김 행정관은 문 대통령이 국회의원이던 시절 보좌관을 지냈으며, 대선 때 후보 수행팀장을 맡았다.
한편,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도 보유한 주택 중 1채를 매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고위공직자 재산공개 때 조 수석은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아파트와 부산 해운대 아파트 등 10억원 가량의 건물을 신고한 바 있다. 조 수석이 소유하던 아파트 중 1채를 매각한 것 역시 1가구 1주택자가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