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고 수준인 자살률을 줄이려 민관 공동으로 ‘생명존중·자살예방협의회’를 출범시키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우리나라가 오이시디 대비 가장 취약한 자살, 산재, 교통사고 사망자 등 3대 지표에 대한 개선대책을 논의했다. 박수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정부의 추진목표는 2022년까지 연간 자살자 수를 1만명 이내, 자살률 20명 이내로 축소하고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을 실행해 국민 개인의 생명과 평범한 일상을 지키는 위기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것”이라며 “총리실 주관으로 부처·지자체 연차별 세부시행계획을 마련하여 2019년 예산반영을 통해 본격 추진·점검하고, 민관 소통기구로 ‘생명존중·자살예방정책협의회(가칭)’를 출범시켜 범사회 차원의 운동으로 전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2016년 기준으로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25.6명, 연간 1만 3092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하고 있어 2003년부터 줄곧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국가행동계획안의 이행을 위해 관련 부처와 지자체가 힘을 모아 실효성 있게 추진해 주고, 이번 계기를 통해 종교계, 언론계, 재계 등 범 사회 전반으로 국민생명을 지키기 위한 자살예방 실천운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