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6일 오전 부산 신항에서 열린 부산항 미래비전 선포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6일 “부산항을 세계 최고의 물류 허브 항구로 만들어내자”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부산항 미래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자신을 “부산항과 조선소를 보며 자란 부산의 아들이다. 바다를 보며 꿈을 키웠고, 부산의 발전과 함께 저도 성장했다”라고 한 뒤 “바다를 포기하고 강국이 된 나라는 없었다. 해양강국은 포기할 수 없는 대한민국의 미래”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과 신남방정책의 성공여부가 부산항의 혁신에 달렸다”며 “부산은 대한민국 해양수도를 넘어 아시아의 해양수도가 될 것이고, 철도, 공항과 함께 육해공이 연계되는 동북아 물류거점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원책도 내놨다. 문 대통령은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스마트 해상물류 시스템을 만들어내자”며 “자율운항선박, 초고속 해상통신망, 스마트 항만을 연계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세계적인 항만모델을 우리가 선도하자”고 했다. 그는 “정부가 나서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아낌없이 지원하고 부산항의 첨단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부산항의 시설 확충도 약속했다. 그는 “부산항이 메가포트로 발전할 수 있도록 현재 21선석 규모를 2022년까지 29선석, 2030년에는 총 40선석으로 확대하고, 연간 컨테이너 3천만 개(TEU)를 처리할 수 있는 초대형 터미널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선박용 엘엔지(LNG) 공급기지, 대형선박 수리조선 단지 조성은 부산항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일자리를 늘릴 것”이라며 “항만 배후단지도 지금보다 8배 넘는 규모로 확대하여 생산과 가공, 물류와 비즈니스가 서로 연계된 종합 물류허브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부산 도심에 위치한 북항 재개발도 언급했다. 그는 “북항재개발 1단계 사업은 11년 전 노무현정부 때 기획하여 시작되었다”며 “더욱 속도를 내서
제 임기인 2022년까지 마무리 하겠다. 노무현 정부가 시작한 일, 문재인 정부가 끝내겠다”고 말했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철도부지, 조선소부지까지 통합적으로 개발하여 해양산업과 해양금융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침체에 빠진 항만, 해운산업도 되살리겠다고 했다. 그는 “고효율 선박 발주를 위한 금융지원과 안정적 화물확보, 국적사 경영안정 대책 등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부산 방문은 지난해 6월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과 8월 동아시아·라틴아메이카협력포럼 외교장관회, 10월 부산국제영화제 참석에 이어 4번째다. 청와대 쪽은 문 대통령의 부산 방문이 지방선거를 의식한 것 아니냐는 물음에는 “대통령으로서 당연히 수행해야할 국가 일정”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