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9일 낮 청와대에서 열린 언론사 사장단 오찬 간담회에 앞서 참석자들과 사전 환담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북한은 국제사회에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며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65년 동안 끌어온 정전체제를 끝내고 종전선언을 거쳐 평화협정 체결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한겨레>를 비롯한 48개 언론사 46명의 사장단과 오찬 간담회를 열어 “북한이 핵보유국으로서의 지위를 주장하면서 핵 확산을 금지하거나 동결하는 선에서 미국과 협상하려 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분들이 있었는데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며 “비핵화의 개념에서 우리와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북한은 비핵화에 대해) 주한미군 철수라든지, 미국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을 제시하지도 않는다”며 “오로지 북한에 대한 적대정책 종식과 자신에 대한 안전보장을 말할 뿐”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주한미군 철수를 요구하지 않았다는 것을 문 대통령이 직접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적극적인 태도로 미뤄 남북, 북-미 정상회담이 큰 틀에서 성과를 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통해 비핵화라든지, 비핵화가 될 경우 (남북이) 평화체제를 한다든지, 북-미 관계를 정상화한다든지, 북한의 경제발전을 위해 국제적으로 돕는다든지 등 큰 틀에서의 원론적인 합의 부분은 크게 어려울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적극적인 대화 의지를 보이고 있고, 우리는 미국과 완벽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협의, 공조해왔다”고 언급해 이러한 의제를 두고 남·북·미 3자가 상당 부분 의견 접근을 이뤘음을 시사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8일 “남북이 종전 문제를 논의하고 있고 이를 축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냉정하게 말하면 우리는 대화의 문턱을 넘고 있을 뿐”이라며 “남북뿐 아니라 사상 최초로 열리는 북-미 정상회담까지 성공해야 대화의 성공을 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이 이어질 북-미 회담의 성공을 이끌어내는 길잡이 구실을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북-미 회담과 무관하게 남북이 따로 진도를 낼 수 없고, 국제 제재를 넘어 합의할 수 있는 것도 아니어서 남북이 따로 합의할 수 있는 내용이 크게 많지 않다”며 “남북 정상회담은 일단 좋은 시작을 하고 북-미 정상회담 성과를 보며 계속 대화할 수 있는 동력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언론에 진보와 보수를 넘어선 협조를 당부했다. 그는 “궁극의 목적인 남북 번영은 보수, 진보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언론이 국론을 모으고 한반도 평화의 길잡이가 돼줄 때 두 정상회담의 성공은 물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이 더 빨리 다가오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0일 남북 정상 사이의 핫라인이 연결돼 실무자 간 시험 통화가 이뤄진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