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오른쪽 가운데)과 리커창 중국 국무원 총리(왼쪽),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9일 오전 일본 도쿄 영빈관에서 제7차 한·일·중 정상회의를 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리커창 중국 총리가 9일 “북한에 일방적인 요구만 할 것이 아니라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실행하면, 미국을 포함한 국제사회가 북한의 체제보장과 경제 개발 등 미래를 보장하는데 적극 동참해야한다”고 뜻을 모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일본 도쿄 임페리얼 호텔에서 한 리 총리와의 한-중 정상회담에서 “남북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으로 조성된 한반도 평화 정착의 기회를 절대 놓쳐선 안된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이렇게 뜻을 모았다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전했다.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중국 다롄 방문(7~8일) 사실을 미리 알려줘 감사하다”고 사의를 표한 뒤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이고, 이는 두번 다시 찾아오기 힘든 어려운 기회인만큼 만드시 성공시켜야한다”고 말했다. 이에 리 총리는 “북한은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명확한 의사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들이 해야 할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북한은) 그에 상응하는 미국의 피드백(반응)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두 정상은 북한의 경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서울-신의주-중국을 잇는 철도 사업이 검토될 수 있으며, 한중 양국 간의 조사 연구 사업을 선행할 수 있다는 데도 의견을 모았다.
문 대통령은 미세먼지 문제 해결에 관한 중국의 협조를 요청했다. 그는 “한중 국민이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게 미세먼지 문제고, 이 문제는 양국 국민의 건강에 직결되는 사안인 만큼 양 정부가 진지하게 걱정하고 협력하는 모습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리 총리는 “미세먼지의 원인은 매우 복잡하고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한국과 함께 연구하고 실질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길 바란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아울러 “중국의 한국 단체 관광객 제한, 전기차 배터리 보조금 문제, 롯데마트 매각과 선양 롯데월드 프로젝트 조속 재기 등 지난해 정상회동을 통해 요청했던 문제들이 하나씩 해결되고 있는데 감사하다”며 “좀더 빠르게 활력있게 진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연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리 총리의 방한도 요청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