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9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선물한 대통령 취임 1주년 기념 축하 케이크. 도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북-미 정상회담을 성공시키려는 양쪽 정상의 의지가 매우 강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일본 도쿄에서 아베 총리와 오찬을 겸한 2시간여의 한-일 정상회담에서 “북-미 정상회담 성공이 굉장히 중요한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모두 성공시키려는 의지가 매우 강하다고 보고 있다”며 “북-미 정상회담 성공을 위해 일본이 끝까지 지지해달라”고 당부했다. 두 정상의 만남은 2월9일 평창 겨울올림픽 개막식 뒤 석달만이다.
“대북 제재 완화나 해지는 시기가 중요하다. 풍계리 핵실험장을 폐쇄하거나 대륙간 탄도미사실을 쏘지 않는 것만으로 대가를 줘선 안되며 북한의 추가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이 필요하다”며 경계심을 피력한 아베 총리에게, 문 대통령은 “한국이 국제사회의 결의없이 독자적으로 제재를 완화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은 전혀 할 필요가 없다”고 답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문 대통령이 평창겨울올림픽 때도 북한 선수단의 운송, 숙박, 장비 등 지원 하나하나를 유엔이나 미국의 제재에 위반되지 않도록 다 협의를 하면서 진행했다”며 “한국이 독자적으로나 임의적으로나 북한과 경제 협력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재는 제재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산가족 상봉이나 조림, 병충해 산불방지 등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9일 오후 일본 도쿄 총리관저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 오찬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선물한 대통령 취임 1주년 기념 케이크를 받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평화체제가 구축되려면 지역 안전보장이라는 내용이 담겨야하며, 동북아 안전보장 논의에 일본도 참여하고 싶다”는 아베 총리의 요청에 “평화협정은 전쟁 당사자끼리 합의하는 것이고 더 넓은 의미에서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체제 구축에는 일본이 반드시 참여해야하고 협력해 줘야한다”고 답했다.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엔 남북미 또는 남북미중이 당사자임을 분명히 하면서, 향후 논의엔 일본이 참여해야한다는 점을 분명히 한 셈이다. 문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미래지향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나가자”고 말했다.
한편, 아베 총리는 오찬이 끝날 즈음 취임 1주년을 맞은 문 대통령에게 축하 케이크를 선물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