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갈등에 ‘한국 역할론’ 시동
트럼프와 회담 때 ‘북 우려’ 전할듯
NSC 열어 “고위급회담 조속 개최”
트럼프와 회담 때 ‘북 우려’ 전할듯
NSC 열어 “고위급회담 조속 개최”
17일 청와대가 다음달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적극적인 중재자 구실을 하겠다고 밝혔다. 순조롭던 북-미 협상이 진통을 겪는 상황을 맞자 양쪽을 잇는 역할에 시동을 건 셈이다.
청와대는 이날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열고 “다가오는 북-미 정상회담이 상호존중의 정신 아래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미와 남북 간에 여러 채널을 통해 긴밀히 입장을 조율해가기로 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청와대는 북한의 남북고위급회담 연기 발표와 미국을 비난한 김계관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의 개인 담화에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진통”이라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지만, 하루 만에 적극 개입하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청와대는 중재의 도구로 ‘역지사지’를 내세웠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미가 회담을 진행해오면서 뭔가 입장차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고 문제를 해소하려면 서로 상대방 입장에 서서 이해해보려는 자세와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선 문 대통령은 22일 미국에서 열리는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우려를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북한으로선 모든 걸 걸고 모험을 하면서 체제 안전보장을 가장 확인받고 싶어 한다는 게 핵심이다. 이런 점을 문 대통령이 한-미 회담에서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의용 실장도 16일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한 통화에서 이런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북한 쪽에도 각종 대화채널을 통해 미국의 입장과 견해를 전달하고 있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한편 국가안전보장회의는 판문점 선언의 차질없는 이행과 남북고위급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위해 북쪽과 협의를 계속하고,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참관(23~25일)과 6·15 공동행사 준비 등도 문제없이 이행해가기로 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이슈한반도 평화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