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수현 사회수석, 반장식 일자리수석이 지난해 8월 국회에서 열린 고위 당정청회의에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청와대가 20일 일자리 추가경정예산 집행과 중국인 관광객 증가 등으로 “6월부터 고용 여건이 본격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장식 청와대 일자리 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최근 보이고 있는 중국 관광객의 회복 조짐과 국회에서 심의 중인 청년 일자리 대책 추경 사업의 본격적인 집행, 은행과 공기업 채용 본격화, 7월1일부터 시행되는 노동시간 단축 효과 등이 일자리 증가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반 수석은 “정부는 지난해부터 본격 추진한 공공일자리 대책에 이어 창업, 혁신성장, 규제혁신, 서비스업과 사회적 경제 활성화 등 민간 일자리 대책의 효과가 가시화하도록 속도감있게 정책을 추진해가겠다”고 말했다.
반 수석은 최근 나타난 고용지표 부진에 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우리 경제 성장이 반도체 수출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데, 고용 창출력이 큰 자동차나 조선업의 구조조정 등의 요인이 고용 증가를 제약하고 있다”며 “지난해 상반기 취업자 증가 규모가 36만 명으로 높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올해 취업자 증가 지표가 낮게 나타나는 통계적인 요인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15~64살 사이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세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동 공급 측면에서 취업자 수 증가를 제약하고 있다”고 했다.
반 수석은 “일자리의 질 측면에서 크게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하며, △30만~40만명 규모의 상용직 노동자 증가 △11만명 이상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결정 △196만명의 일자리 안정자금 신청 등을 그 근거로 들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