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후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 보좌관회의에서 판문점 2차 남북정상회담의 의미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왼쪽부터 임종석 비서실장, 문 대통령,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반장식 일자리수석, 이상철 국가안보실 1차장, 남관표 2차장.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앞으로도 (2차 남북정상회담과) 유사한 회담 방식이 있을 수 있다”며 청와대 참모들에게 수시 남북정상회담에 대비하라고 주문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판문점 ‘출퇴근 회담’이 자주 이뤄질 가능성을 시사한 셈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이번 남북정상회담에서 무엇보다 의미가 컸던 것은 남북 정상이 긴급한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번잡한 절차와 형식을 생략하고 일상적인 만남처럼 쉽게 연락하고, 쉽게 약속하고, 쉽게 만났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남북 간에 지난 판문점 회담이나 올해 가을 예정된 평양 회담처럼 격식을 갖춰 정기적인 회담을 갖는 것은 남북관계 발전에 매우 중요한 일”이라며 “이에 더해 정기적인 회담 사이라도 긴급한 필요가 있을 경우 판문점 남쪽 지역과 북쪽 지역을 번갈아 오가며 실무적인 회담을 수시로 할 수 있다면 남북관계의 빠른 발전을 더욱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차 남북정상회담은 김 위원장의 제안 뒤 하루 만에 의전을 최소화한 채 이뤄졌다. 문 대통령은 전날도 “남북은 이렇게 만나야 한다”며 큰 만족감을 표시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도 유사한 회담 방식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유사시 대통령 직무대행이나 군 통수권 등의 공백을 막기 위한 사전 준비, 군 수뇌부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들의 비상 대기 등 필요한 조치들과 (남북) 취재진의 균형을 갖추는 문제, 관련국에 대한 사전·사후 통지 방안 등을 미리 잘 강구해달라”고 지시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판문점 북쪽 지역에서 (정상회담을 하는 일이) 일상처럼 벌어질 수 있으니 그런 경우에 대비해 관련된 제도적 장치를 완비해 놓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여기에는 안보 공백을 지적하는 보수 야당에 빌미를 주지 않겠다는 뜻도 담긴 듯하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김정은 위원장과의 교감에 바탕을 둔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얼마든지 충분히 자주 만나 이야기하고 같이 한곳에 앉아 풀어나가다 보면 약속을 이행하는 데 아주 중요한 행동이 된다”고 했다. 이에 문 대통령도 “필요할 때 연락해 쉽게 만날 수 있다는 것이 남북관계의 새로운 시대를 보여주는 하나의 징표가 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청와대는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정부로서는 수시 판문점 회담 정착이 굉장히 중요한 관심사안”(임종석 비서실장)이라고 할 정도로 공을 들여왔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