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1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새로운 한반도 시대를 염원하는 전 세계인들의 바람이 실현될 수 있도록 두 지도자가 서로의 요구를 통 크게 주고 받는 담대한 결단을 하길 기대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1일 “회담을 통해 적대관계 청산과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큰 합의가 도출되기를 바란다”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통 큰 결단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전 세계가 고대하던 북-미 정상회담이 드디어 내일 개최된다. 이제 두 정상의 세기적인 만남만 남겨두고 있다”며 “(이번 회담은) 전쟁에서 평화로 가는 역사적인 이정표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역사적인 북-미 회담이 성사된 공을 북, 미 정상에게 돌렸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두 지도자의 과감한 결단이 있었기 때문에 여기까지 오는 것이 가능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실질적인 행동으로 보여왔고, 김 위원장은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등 과감한 선제적 조처로 회담 성공을 위한 성의와 비핵화 의지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내일 회담이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는 전망과 기대를 함께 가지고 있다”고 기대를 나타내면서 국민들의 인내와 지지를 부탁했다. 그는 “뿌리깊은 적대 관계와 북핵 문제가 정상 간의 회담 한번으로 일거에 해결될 수는 없다. 두 정상이 큰 물꼬를 튼 연후에도 완전한 해결에는 1년이 될지, 2년이 될지, 더 시간이 걸릴지 알 수 없는 긴 과정이 필요하다”며 “과정이 완결될 때까지 남북미 간의 진정성 있는 노력과 주변국의 지속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과정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나가는 긴 호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관계를 능동적으로 풀어가겠다는 ‘한반도 운전자론’도 거듭 피력했다. 그는 “북핵 문제와 적대관계 청산을 북-미 간의 대화에만 기댈 수 없다”며 “남북 관계가 좋아지면 북-미 관계가 좋아지고, 북-미 관계가 좋아지면 남북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는 선순환 관계를 만들어 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남북군사회담(14일), 체육회담(18일), 적십자회담(22일) 등 남북 대화에 국민들의 지속적인 지지와 성원을 당부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출범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온갖 어려움을 겪으면서도 끝내 지금의 상황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고 자평한 뒤 “어떤 상황 속에서도 적어도 한반도 문제만큼은 우리가 주인공이라는 자세와 의지를 잃지 않도록 국민들께서 끝까지 함께해 달라”고 부탁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북-미 회담 뒤 13~14일 방한하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을 만나 회담 결과를 들을 것으로 알려졌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화보] 세계가 지켜보는 ‘세기의 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