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국회의 원 구성이 마무리되는 대로 4명 안팎의 장관을 교체하는 ‘중폭 개각’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30%를 채운 여성 장관 비율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정치인 출신 장관 기용을 적극 검토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6일 “4명 안팎의 장관을 교체하는 ‘중폭’ 개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며 “대강의 윤곽은 나왔고 국회 원 구성 상황을 감안해 시기를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지난달 중순까지만 해도 인사 검증과 인사청문회 통과 부담 탓에 공석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포함한 1~2개 장관만 교체하는 소폭 개각을 염두에 뒀다. 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6일 청와대 경제, 일자리, 사회혁신 수석 등 3명의 수석을 교체하고, 보고가 미진하다며 규제혁신점검회의를 전격 취소하는 등 민생·경제 부문의 구체적 ‘성과’를 강조하면서 개각 폭도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현재 내각의 30%인 여성 장관(6명) 비율을 현행대로 유지한다는 원칙을 세웠다고 한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에 초기 내각 여성 장관 30% 비율을 시작으로 임기 내 50%까지 채우겠다고 공약했다. 정치인 출신 장관의 비율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여권 관계자는 “정치인 장관 출신들이 부처 장악력이나 업무 추진력이 강하고, 현 정부의 국정 철학과 방향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이들의 업무평가 성적도 높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정치인 출신 인사들은 각종 선거를 치르며 검증을 거친 까닭에, 관료나 학자 출신보다 인사청문회 부담이 적은 점도 큰 장점이다.
청와대와 여권, 관가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장관 등이 개각 대상으로 입길에 오른다. 사퇴 뒤 당대표 출마설이 나오던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은 유임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청와대는 국회 원 구성이 마무리되는 대로 개각을 단행할 예정이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