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8일 서울공항에서 인도·싱가포르 순방을 위해 전용기에 올라 환송객들에게 손을 흔들며 인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8일, 5박6일 동안의 인도, 싱가포르 순방을 위해 출국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부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성남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올라 인도 뉴델리로 출발했다. 문 대통령은 11일까지 3박4일 동안 인도를, 13일까지 싱가포르를 이어서 국빈 방문한다.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과 김현철 경제보좌관은 지난 5일 기자들과 만나 “이번 순방은 문 대통령이 강조하는 신남방정책을 본격 추진하고 이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남방정책은 문 대통령이 2017년 11월 처음 밝힌 정책으로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 수준을 높여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 4강국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정책이다.
문 대통령은 인도 방문에서 정보통신(IT)과 의학, 우주공학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청와대 쪽은 “기존 신남방정책의 중점 분야인 사람(People), 평화(Peace), 상생번영(Prosperity)라는 3피(P)에 미래와 시너지라는 ‘3피+알파’ 전략으로 인도 방문에 임하려 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기초 과학, 원천 기술 강국인 인도와 우리의 제조 응용기술이 결합하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문 대통령은 9일 삼성전자 노이다 신공장 준공식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조우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 부회장과의 별도 만남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11일부터는 2박3일 동안 싱가포르 국빈 방문한다. 한국 대통령이 싱가포르를 방문하는 것은 15년 만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 여론 주도층을 대상으로 남북, 북-미 정상회담의 의의와 한반도의 평화 번영이 아시아의 평화 번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내용을 담은 ‘싱가포르 렉처’를 진행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신남방 정책을 거듭 강조하면서 한반도의 평화 번영과 아시아의 평화 번영이 어떻게 연관되는지 설명하고 함께 하자는 메시지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7월 독일 베를린을 방문해 쾨르버 재단 주최 연설에서 북한의 평창 겨울올림픽 참가 제의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를 위한 남북 대화 재개, 상호 적대 행위 중단 등을 제안하는 이른바 ‘베를린 선언’을 한 바 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