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26일 자영업비서관을 신설하고 소통·홍보 기능을 대폭 강화하는 내용을 뼈대로 한 2기 청와대 조직개편안을 발표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국정과제를 보다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조직진단을 했고, 이에 따른 문재인 정부 2기 개편안을 마련했다”며 자영업비서관을 신설한 3실장(비서실장·정책실장·안보실장), 12수석, 49비서관 체제로 개편한다고 발표했다. 기존 체제에서 비서관 한 자리가 늘어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23일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자영업을 기업과 노동으로만 분류할 수 없는 또 하나의 독자적인 산업정책 영역으로 볼 필요가 있다”며 자영업비서관 신설을 공개한 바 있다.
청와대는 문재인 정부 출범 1년2개월여 만에 단행한 이번 조직개편에서 대국민 소통과 홍보 강화에 역점을 뒀다. 국민소통수석실 산하에는 기존 홍보기획비서관을 그대로 두면서 국정홍보비서관을 신설하기로 했다. 김 대변인은 “홍보기획비서관은 주로 미디어 정책을 다루면서 국정 전반에 걸친 홍보를 기획하고, 국정홍보비서관은 각 부처 홍보 담당자들과 조정 기능을 강화하는 구실을 한다”고 말했다. 또 비서실장 산하의 연설비서관을 유지하면서 국정 메시지를 통합 관리하는 연설기획비서관을 새로 만들었다. 기존 뉴미디어비서관실은 디지털소통센터로, 시민사회비서관은 시민참여비서관으로 이름을 바꿔 역시 소통을 강조했다.
소통·홍보 기능 강화는 최근 탈원전 정책과 최저임금 인상, 소득주도성장 등 현 정부의 핵심 정책을 국민들에게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최근 폭염으로 늘어난 전력공급을 감당하려 원전을 서둘러 재가동했다는 일부 보수언론 보도에 관해 “터무니없이 왜곡하는 주장”이라고 직접 반박하기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의 핵심은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을 국민에게 좀더 친절하고 많이 알려 이해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일부 비서관의 직책을 분리하고 명칭을 변경해 정책 추진에 효율과 속도를 높이겠다는 의지를 실었다. 교육문화비서관은 교육비서관과 문화비서관으로 분리해 두 분야의 정책 기능을 강화했다. 중소기업비서관은 중소벤처기업비서관으로, 정책기획비서관은 정책조정비서관으로 바꿔 기획보다는 조율 기능에 초점을 뒀다. 아울러 청와대는 재외동포 정책을 전담하는 재외동포담당관을 신설하기로 했다. 김 대변인은 “재외동포들을 보호하고 소통을 강화하자는 의미에서 이 자리를 새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