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제73주년 광복절 및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동북아 6개국(한국·북한·중국·일본·러시아·몽골)과 미국이 함께하는 ‘동아시아 철도공동체’를 처음 제안했다. 한반도의 평화, 남북 경제협력을 동북아 다자평화안보체제와 동아시아 경제 공동체로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드러낸 것이다. 문 대통령은 또 경기·강원도 접경 지역에 통일경제특구를 설치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한 제73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경의선과 경원선 출발지였던 용산에서 오늘, 동북아 6개국과 미국이 함께하는 ‘동아시아 철도공동체’를 제안한다”며 “이 공동체는 우리의 경제지평을 북방대륙까지 넓히고 동북아 상생번영의 대동맥이 돼 동아시아 에너지 공동체와 경제 공동체로 이어질 것이고 동북아 다자평화안보체제로 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4월27일) ‘판문점 선언’에서 합의한 철도, 도로 연결은 올해 안에 착공식을 갖는 것이 목표”라며 “철도와 도로의 연결은 한반도 공동번영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평화가 경제”라며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고 평화가 정착되면 경기도와 강원도의 접경지역에 통일경제특구를 설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통일경제특구가 “많은 일자리와 함께 지역과 중소기업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개성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설도 곧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며칠 후면 (사무소가 개설돼) 남북이 24시간 365일 소통하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다음주께 개설될 것 같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관계 진전을 바탕으로 교착 상태인 북-미 간 비핵화 협상 국면을 돌파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다음달 저는 평양을 방문하게 될 것”이라며 “‘판문점 선언’ 이행을 정상 간에 확인하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함께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으로 가기 위한 담대한 발걸음을 내디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 문제는 우리가 주인이라는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며 “남북 관계 발전이야말로 한반도 비핵화를 촉진시키는 동력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이행과 이에 상응하는 미국의 포괄적 조치가 신속하게 추진되길 바란다”고 북·미 양쪽에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친일 역사는 결코 우리 역사의 주류가 아니었다”며 자긍심도 강조했다. 그는 “우리 국민들의 독립투쟁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치열했고 선열들이 죽음을 무릅쓰고 함께 싸워 이겨낸 결과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일본을 향한 과거사 반성 촉구 등의 발언을 자제한 채 “아베 총리와도 한-일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나가고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 번영을 위해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했다”고 두 나라의 협력을 강조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화보] 제73주년 광복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