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열린마당에서 열린 제73주년 광복절과 정부수립 70주년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남북 간 군사적 긴장 완화를 전제로 밝힌 ‘경기·강원 접경 지역 통일경제특구’는 평화와 경제라는 두가지 목표 실현에 대한 의지가 담긴 구상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평화가 경제”라며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고 평화가 정착되면 경기도와 강원도의 접경 지역에 통일경제특구를 설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통일경제특구가 “많은 일자리와 함께 지역과 중소기업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료를 바탕으로 “향후 30년간 남북 경협에 따른 경제 효과가 최소한 170조원에 이를 것”이라며 “평화경제, 경제공동체의 꿈을 실현시킬 때 우리 경제는 새롭게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금강산 관광이 강원도 고성의 경제를 비약시킨 경험과 일자리가 10만개에 이르렀던 개성공단의 고용효과와 함께 경기도 파주 일대가 “상전벽해와 같은 눈부신 발전이 이뤄졌다”는 점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이 통일경제특구 조성을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는 대통령선거 후보 시절이던 지난해 5월 경기도 고양·파주 유세에서 “파주·해주·개성을 연결한 통일경제특구 설치는 경기 북부 지역 발전을 앞당길 수 있다”며 “이는 (2007년) 10·4 정상선언을 만든 참여정부의 꿈이고 문재인의 꿈”이라고 했다. 이번 경축사에선 통일경제특구의 범위를 강원 지역까지 확대한 것이다. 이는 문 대통령이 밝힌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과도 연결된다. 문 대통령은 산업·물류·교통을 중심으로 한 ‘환황해 벨트’와 관광·자원·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환동해 벨트’, 한반도 접경 지역을 가로로 아우르는 접경 지역 평화벨트를 신경제지도 구상의 3개 축으로 삼았다.
접경 지역 통일경제특구가 평화를 담보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2016년 2월 폐쇄되기 전까지 개성공단은 남북의 화력이 밀집한 휴전선 서쪽 지역에 안전장치 구실을 했다. 강원 접경 지역에도 통일경제특구가 생기면 휴전선 동쪽에도 완충지를 마련하게 된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화보] 제73주년 광복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