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미 더불어민주당(왼쪽부터), 김수민 바른미래당, 신보라 자유한국당, 이용주 민주평화당 원내대변인, 최석 정의당 대변인이 16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여야5당 원내대표 초청 오찬에서 나온 합의문을 발표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문재인 대통령이 9월 평양 남북 정상회담에서 국회 회담의 단초를 마련하겠다고 한 발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16일 여야 5당 원내대표들에게 9월 평양 정상회담 전에 판문점 선언을 비준 동의해달라고 요청하면서 “우리 정부의 기본 입장은 그때(3차 평양 남북정상회담 때) 국회에서도 함께 방북해 남북 간에 국회회담의 단초도 마련했으면 하는 욕심”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의 발언은 남북 교류를 경제협력이나 문화, 스포츠 분야에 그치지 않고 정치권까지 넓히겠다는 의욕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남북 국회회담 논의는 지난 2007년 10월 열린 남북 정상회담에서도 다뤄진 적이 있다. 남북 정당 관계자들은 10월3일 회담을 열어 남북 국회 회담 정례화 문제를 논의했다. 당시 김원기 전 국회의장을 비롯한 국회 정당 관계자들은 최태복 북한 최고인민회의 의장 등 북한 쪽 정당 관계자들과 만났다. 김 전 의장은 “남북 국회회담을 가급적 빨리 개최하자”고 요청했다. 이에 최 의장은 6·15 공동선언에 대한 남북 국회의 공동지지 선언을 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회의는 뚜렷한 결론을 내지 못한 채 끝났다. 당시 국회·정당 쪽에서는 김 전 원장을 비롯해 배기선 국회 남북평화통일 특별위원회 위원장, 김낙성 국민중심당 정책위 의장, 문희상 대통합민주신당 남북정상회담지원 특별위원회 위원장, 이상열 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천영세 민주노동당 원내대표 등이 특별 수행원 자격으로 방북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