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발달장애인 평생케어 종합대책 발표 및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지단
청와대가 12일 여야 당 대표의 평양 남북정상회담 동행 제안이 더는 국회 존중 논란으로 확산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뜻을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번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국회 정당 대표님들을 모시고 같이 가고 싶다는 의견은 이미 지난달 16일 문재인 대통령이 5당 원내대표 간담회 때 남북 국회 회담이 추진됐으면 좋겠다는 취지로 말씀을 한 바 있다”며 “대변인이 나설 수도 있었지만 임종석 비서실장이 직접 나서 문 대통령의 초청 의사를 공식적으로 다시 한번 밝힌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문제가 국회를 존중했느냐 아니냐는 논의로 확산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앞서 임 실장은 10일 기자회견을 열어 문희상 국회의장과 이주영·주승용 국회부의장, 강석호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 9명에게 국회·정당 특별대표단 자격으로 18~20일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함께 가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국회의장단을 비롯한 김병준 비대위원장과 손학규 대표, 강 위원장은 당일 청와대의 제안을 거부했다. 특히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청와대가 사전 조율 과정 없이 즉흥적으로 동행 제안을 했다면서 불쾌감을 표시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사전 조율이 부족했다는) 지적에는 우리가 더욱 성의를 다해 말씀 드려야 할 부분이 있을 수도 있고, 사전에 놓친 부분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국회 존중 차원에서 공식 제안을 드렸고, 그 전부터 국회와 이번에 함께 (방북)했으면 좋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공개했다”고 했다.
그는 “이번에 판문점 선언 비준 동의안을 국무회의에서 통과시키고 국회에 제출한 이유도 국회를 존중하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며 “예산에 대해 사전에 미리 제출하는 것은 행정부로서 국회를 존중하고 동의를 구함으로써 향후 남북 관계 발전에 새로운 추동력을 갖기 위한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