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8일 오후 평양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 청사 로비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정상회담 시작에 전 악수를 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8일 오후 조선노동앙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정상회담을 연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서울 동대문 디자인프라자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오후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오후 조선노동당 중앙위 본부 청사에서 정상회담을 연다”며 “남북 정상이 조선노동당 본부에서 회담을 하는 것은 처음이다”라고 말했다. 과거 2000년과 2007년 평양 정상회담 때는 모두 김정일 당시 국방위원장이 남쪽 대통령 숙소인 백화원 영빈관으로 찾아와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8일 오후 평양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 청사에서 정상회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평양사진공동취재단/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김 위원장은 앞서 두차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 대북 특사단을 조선노동당 중앙위 본부 청사에서 만난 바 있다. 윤 수석은 “배석자는 2~3명이 될 것 같지만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비핵화와 관련해 오늘 중으로 결과가 나오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며 “내일 2차 정상회담이 열리기 때문에 이 회담이 끝나야 전체적인 성과와 결과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정숙 여사는 리설주 여사와 함께 오후 2시30분 옥류 아동 병원에 이어 오후 3시 음악 종합대학을 방문한다. 윤 수석은 “옥류아동 병원 방문에 리 여사가 동행할 것으로 본다”며 “김 여사와 리 여사가 음악을 공부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자리에는 김형석 작곡가와 가수 에일리, 지코도 동행한다”고 말했다.
환영 만찬은 평양 중구역 인근 목란관에서 열린다. 인민문화궁전과 함께 북한의 최고급 국빈용 연회장으로 꼽히는 곳이다. 북한의 국화인 목란에서 이름을 따왔다. 2000년 6월 1차 남북정상회담 때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부인 이희호 여사, 2007년 10월 남북정상회담 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부인 권양숙 여사를 위한 만찬이 모두 이곳에서 열렸다.
[화보] 2018 평양 남북정상회담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