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들 서해 NLL 수호 숭고한 일이나 계속 피로 지킬 수는 없어”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를 남북이 평화 수역으로 설정해 공동어로구역을 만들기로 한 4·27 판문점 선언에 관해 “분쟁의 수역이던 엔엘엘을 명실상부하게 평화의 수역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한 대전환”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한 군 장성 진급, 보직 신고식에서 박한기 합동참모본부 의장과 황인권 제2작전사령관과 환담하면서 “서해 엔엘엘은 우리 장병들이 피로서 지켜온 해상 경계선으로 이는 참으로 숭고한 일이다”라며 “그렇지만 계속 피로서 지킬 수는 없는 것이고, 피를 흘리지 않고 지킬 수 있다면 더더욱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 방법이 엔엘엘이라는 분쟁의 바다 위에 그 일대를 하나의 평화수역으로 만듦으로서 남북 간의 군사 충돌이 원천적으로 없게 만들고 남북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해 남과 북의 어민들이 함께 조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면서 “남북정상회담, 판문점부터 이번까지 쭉 일관되게 북한이 엔엘엘을 인정하면서 이를 중심으로 평화수역을 설정하고 공동어로구역을 만들기로 한 것인데 이는 엔엘엘을 북한으로 하여금 인정하게 하겠다 하는 데도 큰 의미가 있고 분쟁의 수역이었던 엔엘엘을 정말 명실상부하게 평화의 수역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굉장한 대전환”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동어로구역이 설정된다면 남북 어민들이 공동 조업을 통해서 어획 수입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룰을 잘 정한다면 어장을 황폐화하지 않고 어장을 잘 보존하는 작업도 함께 있게 되고 그 쪽으로 들어오는 제3국 어선들의 불법조업을 남북이 함께 막아내는 효과까지도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남북간) 분쟁 소지는 육상의 비무장지대, 군사경계선을 중심으로도 늘 있어왔지만 현실적으로 가장 충돌의 가능성이 큰 것이 서해지역”이라며 “남북 간의 평화에 있어서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는 길이라는 것 잘 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군 장성 진급 및 보직 신고식에서 박한기 신임 합참의장(오른쪽)과 황인권 제2작전사령관의 보직 신고를 받은 뒤 경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