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2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점에 관해 “북-미 2차 정상회담 전이 좋을 지, 후가 좋을 지 여러 생각과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북-미 정상회담이 내년 초로 예고된 가운데 김 위원장의 답방을 내년으로 연기할 가능성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지금까지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염두에 두고 준비를 하고 있다는 태도였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 시기를 묻는 물음에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은 여러가지 가능성을 열어 놓고 논의 중”이라며 “북-미 2차 정상회담 전이 좋을지, 후가 좋을지 어떤 것이 더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가져오는데 효과적일지 여러 가지 생각과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남북 정상은 지난 9·19 평양 공동선언에서 ‘김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하기로 했다’고 합의했고, 문 대통령은 당시 답방 시기에 대해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쪽은 북-미 정상회담 개최 시점을 내년 초로 언급하고 있다.
청와대는 애초 2차 북-미 정상회담에 이은 연내 김 위원장의 답방을 가장 좋은 순서로 생각했다. 북-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바탕으로 남-북 정상회담에서 대북 제재 해제나 경협 확대 등의 실질적 합의를 기대한 것이다. 하지만 미국이 내년 초로 2차 북-미 정상회담 시기를 못 박음으로써 최상의 시나리오의 변경이 불가피해졌다. 청와대는 교착 상태의 북-미 대화를 촉진할 마중물 구실로써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을 추진할지, 아니면 이를 내년 북-미 정상회담 뒤로 미뤄 남북 간 실질적인 성과와 합의를 이뤄내는 것이 더 나을지를 두고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변인은 북-미 고위급 회담이 “가급적 빨리 열리길 기대하고 있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종전 선언에 관해서는 “일단 연내가 목표라고 하지 않았느냐”라며 “우리 정부만의 결정으로 될 수 있는 것도, 남-북 사이에 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남북미 3자가 다 합의를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종 목표를 위해 여전히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