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26일 청와대 국가안보실 보고서에 ‘한반도 비핵화를 둘러싸고 한-미 동맹 균열이 심각하다’는 내용이 담겼다는 <아시아경제> 보도에 관해 “청와대나 안보실에서 작성한 것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청와대는 “해당 언론사가 (이 문건이) 어디서 만들어졌는지 출처를 밝혀 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문제의 보도의 출처는 한 대학 연구원 명의를 사칭한 이메일이고, 첨부된 문서도 청와대 국가안보실 한 비서관의 이름을 도용한 문서”라며 “누가 어떤 의도로 허위문서를 만들어 뿌렸는지 추적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jtbc〉도 이날 저녁 “(아시아 경제가 보도한) 해당 문건은 지난 17일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 연구원 서아무개씨 명의로 보내진 이메일에 첨부된 것과 같은 제목”이라며 “메일을 보면 같은 제목의 피디에프(PDF) 파일이 첨부돼 있고 권희석 청와대 국가안보실 비서관의 강연 원고라고 적혀있다. 하지만 연구원 이름을 사칭한 가짜 메일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앞서,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아시아경제>가 보도한 보고서는) 청와대나 안보실에서 작성한 것이 아니다. (보고서의) 내용이나 서체 모두 그렇다”며 “청와대에서 어떤 형식의 문건을 만들든 무단으로 복사 반출할 수 없고, (복사하면) ‘리퍼블릭 오브 코리아’라는 워터마크(문서의 출처를 표시하는 문양이나 무늬)가 찍힌다. 문서를 출력한 사람의 이름과 시간도 초 단위까지 나오게 돼 있다”며 “그런 점에서 (이런 것들이 없는 해당 보고서는) 청와대 문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 문서를 보도한 언론사에서 (보고서가) 어디서 만들어졌는지 출처를 밝혀달라”며 “저희도 누가 이런 문서를 만들어 유포했는지, 출저를 파악하고 있다. 가능한 조처를 모두 취할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는 이날 청와대 국가안보실의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 평가와 전망’ 보고서를 입수했다면서 보고서가 ‘(한반도 비핵화를 두고) 한-미 간 해법에 대한 이견이 부각되고 있고, 한국에 대한 미국의 불신과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보도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